정다은 시의원, “광주시 정책연구용역결과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지적
![]() 정다은 광주시의원 |
광주시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데 근거가 되는 정책연구용역결과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시의회 정다은(민주·북구2) 의원은 7일 광주시 기획조정실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5년간 광주시가 실시한 용역 총 459건 중 행안부 정책연구 관리시스템(프리즘)에 등재 의무가 있는 275건의 용역(금액 25,295백만원) 중 등재 건수는 총198건 밖에 되지 않고, 나머지 77건은 등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광주시가 추진한 용역결과는 공개 시점, 공개 범위 모두 정해진 법규에 따르지 않은 등 정책연구용역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공공재인 연구결과를 다수의 시민이 공유할 수 없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행안부는 예산낭비 요인을 줄이고 연구 품질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기관의 정책연구를 종합, 관리하기 위해 정책연구 관리시스템(프리즘)을 구축하였고, 2017년도부터 정책연구 결과를 공개할 의무를 지자체에 부여하고 있다. 정 의원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등재 의무가 있는 연구과제에 한정하지 말고, 비공개 사유가 없는 정책연구과제의 경우 프리즘에 등재해 공공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광주시는 “정 의원이 지적한 등록되지 않은 77건 중 미등록된 용역은 354건이며, 42건은 현재 진행중인 용역이다”면서 “최근 용역추진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등을 분석해 연말까지 광주시 용역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고 해명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광주시의회 정다은(민주·북구2) 의원은 7일 광주시 기획조정실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5년간 광주시가 실시한 용역 총 459건 중 행안부 정책연구 관리시스템(프리즘)에 등재 의무가 있는 275건의 용역(금액 25,295백만원) 중 등재 건수는 총198건 밖에 되지 않고, 나머지 77건은 등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행안부는 예산낭비 요인을 줄이고 연구 품질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기관의 정책연구를 종합, 관리하기 위해 정책연구 관리시스템(프리즘)을 구축하였고, 2017년도부터 정책연구 결과를 공개할 의무를 지자체에 부여하고 있다. 정 의원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등재 의무가 있는 연구과제에 한정하지 말고, 비공개 사유가 없는 정책연구과제의 경우 프리즘에 등재해 공공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