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거문도 갯바위 생태계 회복 중
1년간 생태휴식년제 낚시객 통제
거문도 전역으로 확대키로
내년 1월까지 오염물질 정화활동
거문도 전역으로 확대키로
내년 1월까지 오염물질 정화활동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관계자들이 거문도에서 불법 낚시를 하고 있는 낚시객을 적발해 계도·단속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
무분별한 낚시객들로 상처를 입은 여수시 거문도 섬의 생태계가 다시 회복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오염의 주범인 납으로 만든 봉돌이나 불법 낚시 쓰레기가 쌓이고,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해 갯바위를 깨거나 훼손하는 등의 행위를 막기 위해 1년간 낚시객들이 통제된 결과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시 거문도 서도에서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시범 운영한 결과, 갯바위 오염도가 줄어들고 생태계가 회복 중이라는 점을 들어 거문도 전 해안으로 생태휴식제를 확대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갯바위 생태휴식제는 무분별한 낚시, 해양 레저 활동 등으로 오염되거나 훼손이 심각한 갯바위의 출입을 일정기간 통제해 생태계를 복원하는 제도다.
거문도는 동도, 서도, 고도 등 3개의 유인도로 구성돼 있고 교량(연도교)으로 3개 섬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다. 그동안 거문도 지역은 낚시객이 즐겨 찾는 곳으로, 오물·쓰레기 투기 등으로 생태·경관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1년 동안 생태휴식제를 거문도 서도의 서쪽 해안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해 주민, 시민단체 등과 협력해 생태계 회복에 힘썼다.
지난해 9월 13일부터 제도 시범 운영기간 동안 117명이 투입돼 17차례에 걸쳐 813㎏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성과를 냈다.
또 낚싯대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폐납 272㎏을 제거하고 낚시대를 고정하기 위해 갯바위에 뚫은 구멍(천공) 180여 곳을 복원했다.
무단 출입에 대한 단속과 불법행위 관리를 위해 207명의 순찰인원이 순찰을 진행해 33건의 과태료도 부과했다. 그 결과 지난해 2월 국립공원공단의 거문도 오염실태 조사에서 ‘심각’ 수준이었던 조사 지점 9곳의 오염도도 모두 ‘경미’하거나 ‘보통’ 수준으로 회복됐다.
폐납과 해양쓰레기의 양, 생태계 훼손 정도를 평가한 ‘갯바위 종합오염도’는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행 1년 여만에 10.3점에서 6.5점으로 37% 감소했다. 오염도가 11점 이상이면 ‘심각’ 수준이고, 6~10점이면 ‘보통’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10㎡당 수거한 폐납은 11.1개에서 0.1개로, 해양쓰레기는 8.2개에서 1.1개로 줄었다.
따개비 등 생태계 건강성을 보여주는 해양생물의 평균 서식밀도도 1㎡당 5.54 개체에서 휴식제 후 8.77 개체로 58% 높아졌다.
환경부는 시범 사업의 긍정적 결과를 바탕으로 서도에서만 시범 운영하던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11월부터 거문도 전 지역(동도, 서도, 고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11월부터 내년 1월까지 지역주민, 낚시어선단체, 시민단체, 해양경찰, 지자체 등과 함께 폐납 등 미처리 오염물질 정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내년 2월부터는 일부 해안을 체험구간으로 설정해 주민들이 유어장(체험학습이나 낚시 등 관광용 어장) 등을 운영한다. 체험구간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해양생물의 감소와 갯바위 오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식 구간과 교차 운영하기로 했다.
수중 생태계 오염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자원봉사단체 등과 함께 수중 오염원 제거 활동도 병행한다. 일반 낚시객의 혼란이 우려됨에 따라 11월 한달간은 계도기간으로 운영한 후 통제구역에 출입하면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갯바위 생태휴식제가 오염도 감소 및 생태계 건강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만큼 다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섬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며 “자연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환경부와 협력해 국립공원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시 거문도 서도에서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지난해 9월부터 1년간 시범 운영한 결과, 갯바위 오염도가 줄어들고 생태계가 회복 중이라는 점을 들어 거문도 전 해안으로 생태휴식제를 확대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거문도는 동도, 서도, 고도 등 3개의 유인도로 구성돼 있고 교량(연도교)으로 3개 섬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다. 그동안 거문도 지역은 낚시객이 즐겨 찾는 곳으로, 오물·쓰레기 투기 등으로 생태·경관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지난해 9월 13일부터 제도 시범 운영기간 동안 117명이 투입돼 17차례에 걸쳐 813㎏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성과를 냈다.
또 낚싯대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폐납 272㎏을 제거하고 낚시대를 고정하기 위해 갯바위에 뚫은 구멍(천공) 180여 곳을 복원했다.
무단 출입에 대한 단속과 불법행위 관리를 위해 207명의 순찰인원이 순찰을 진행해 33건의 과태료도 부과했다. 그 결과 지난해 2월 국립공원공단의 거문도 오염실태 조사에서 ‘심각’ 수준이었던 조사 지점 9곳의 오염도도 모두 ‘경미’하거나 ‘보통’ 수준으로 회복됐다.
폐납과 해양쓰레기의 양, 생태계 훼손 정도를 평가한 ‘갯바위 종합오염도’는 갯바위 생태휴식제 시행 1년 여만에 10.3점에서 6.5점으로 37% 감소했다. 오염도가 11점 이상이면 ‘심각’ 수준이고, 6~10점이면 ‘보통’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10㎡당 수거한 폐납은 11.1개에서 0.1개로, 해양쓰레기는 8.2개에서 1.1개로 줄었다.
따개비 등 생태계 건강성을 보여주는 해양생물의 평균 서식밀도도 1㎡당 5.54 개체에서 휴식제 후 8.77 개체로 58% 높아졌다.
환경부는 시범 사업의 긍정적 결과를 바탕으로 서도에서만 시범 운영하던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11월부터 거문도 전 지역(동도, 서도, 고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11월부터 내년 1월까지 지역주민, 낚시어선단체, 시민단체, 해양경찰, 지자체 등과 함께 폐납 등 미처리 오염물질 정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내년 2월부터는 일부 해안을 체험구간으로 설정해 주민들이 유어장(체험학습이나 낚시 등 관광용 어장) 등을 운영한다. 체험구간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해양생물의 감소와 갯바위 오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식 구간과 교차 운영하기로 했다.
수중 생태계 오염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자원봉사단체 등과 함께 수중 오염원 제거 활동도 병행한다. 일반 낚시객의 혼란이 우려됨에 따라 11월 한달간은 계도기간으로 운영한 후 통제구역에 출입하면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갯바위 생태휴식제가 오염도 감소 및 생태계 건강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만큼 다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섬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며 “자연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환경부와 협력해 국립공원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