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박람회 10년, 활용 논란 여전
공론화 추진위 “공론화 과정 꼭 필요…시민 1만1000명 서명”
공공개발 시민연대 “공론화 과정 거치다 또 수년간 표류 우려”
2022년 04월 12일(화) 18:30
여수세계박람회장 전경. <광주일보 DB>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10년을 맞았지만, 박람회장의 사후 활용안을 놓고 지역 내 논란이 여전하다.

여수세계박람회장 사후활용 공론화를 강조해 온 여수세계박람회장 미래 공론화추진위원회는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고 박람회장 사후활용을 위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공론화 추진위는 공론화를 바라는 시민 1만 1000여 명 서명을 공개하면서 많은 시민이 여수박람회장의 역할 결정을 위한 공론화 과정을 기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앞으로 한 달 동안 공론화 전문가, 지역사회 원로, 시민사회, 언론인, 일반 시민 등 20여 명으로 공론화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위원회가 구성되면, 위원회 주관으로 두 달 동안 4회 TV 토론회 개최와 2개의 여론조사기관의 여론조사를 추진해 시민들의 집합된 의견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후 여론조사 결과를 국회, 기획재정부, 해수부, 전남도, 여수시, 여수시의회 등에 전달해 시민들의 의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박람회장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김경호 위원장은 “공론화 과정은 4개월이면 충분하다”며 “박람회장이 시민의 뜻과 기대에 맞게 공론화 과정을 거쳐 미래가 결정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반면 박람회장 사후활용을 위한 공론화 과정은 자칫 박람회장 미래 결정이 또다시 수년간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여수박람회장 공공 개발 촉진 시민연대는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인 박람회법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를 요구했다.

이들은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을 위한 공공 개발의 주체를 여수광양항만공사로 하자는 것은 지난 10년의 공론과 숙의의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또 해수부, 기재부, 전남도, 여수시, 광주전남 국회의원 15명 찬성 발의, 상공회의소 등 지역경제단체, 지역 70여 직능사회단체가 모여 사후활용 운동을 전개해온 여수선언실천위원회, 여수지역발전협의회, 여수YMCA,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여수환경운동연합, 여수경실련, 여수참여연대 등 지역시민사회 단체 모두가 동의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여수=김창화 기자 ch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4975580073661013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