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시 심박수 84회 이상, 당뇨병 3.5배 위험
동신대 이중철 교수팀 밝혀내
당뇨병 위험 예측에 활용
당뇨병 위험 예측에 활용
![]() |
동신대학교 이중철<사진> 교수가 안정시 1분당 심박수 84회 이상일 때 당뇨병 발생 위험이 3.5배 커진다는 사실을 밝혀내 화제다.
동신대에 따르면 운동처방학과 이중철 교수팀은 20세 이상 성인 남녀 6622명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와 당뇨병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안정 시 심박수는 운동하지 않은 안정된 상태에서 잰 분당 심장박동 수로, 보통 60∼70회다.
이 교수팀은 안정 시 분당 심박수를 기준으로 네 그룹(1그룹 67회 이하, 2그룹 68∼71회, 3그룹 72∼83회, 4그룹 84회 이상)으로 분류했다. 공복(空腹) 혈당이 126㎎/㎗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판정했다.
분당 심박수가 가장 적은 그룹(1그룹) 대비 3그룹ㆍ4그룹의 당뇨병 발생률은 각각 2.4배ㆍ3.5배였다.
안정 시 분당 심박수가 84회 이상일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높았다. 60세 이상의 30.6%가 안정 시 심박수 84회 이상이었다. 배우자가 없는 남녀의 안정 시 심박수가 85회 이상일 가능성은 배우자 있는 사람보다 1.6배였다. 안정 시 심박수가 84회 이상인 사람의 음주율은 73%, 비만 또는 과체중 비율은 46%였다.
이중철 교수팀은 논문에서 “안정 시 심박수가 늘어나면 당뇨병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며 “안정 시 심박수는 당뇨병 위험 예측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희종 기자 chae@kwangju.co.kr
동신대에 따르면 운동처방학과 이중철 교수팀은 20세 이상 성인 남녀 6622명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와 당뇨병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안정 시 심박수는 운동하지 않은 안정된 상태에서 잰 분당 심장박동 수로, 보통 60∼70회다.
분당 심박수가 가장 적은 그룹(1그룹) 대비 3그룹ㆍ4그룹의 당뇨병 발생률은 각각 2.4배ㆍ3.5배였다.
안정 시 분당 심박수가 84회 이상일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높았다. 60세 이상의 30.6%가 안정 시 심박수 84회 이상이었다. 배우자가 없는 남녀의 안정 시 심박수가 85회 이상일 가능성은 배우자 있는 사람보다 1.6배였다. 안정 시 심박수가 84회 이상인 사람의 음주율은 73%, 비만 또는 과체중 비율은 46%였다.
/채희종 기자 chae@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