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그래미 본상 후보 불발…2년 연속 ‘베스트 그룹’ 수상 도전
미국 3대 음악상 ‘그랜드 슬램’ 노려…본상 후보 제외에 팬들 반발도
2021년 11월 24일(수) 11:50
BTS가 ‘그래미 어워즈’에서 2년 연속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다. BTS는 콜드플레이, 도자 캣, 토니 베넷·레이디 가가, 저스틴 비버·제니 블랑코와 수상을 놓고 경쟁한다. 사진은 지난 22일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에서 BTS가 콜드플레이와 공연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그룹 방탄소년단이 대중음악계 최고 권위를 지닌 ‘그래미 어워즈’(Grammy Awards)에서 2년 연속으로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후보에 올랐다.

당초 기대를 모았던 4대 본상인 ‘제너럴 필즈’(General Fields) 후보에는 들지 못해 후일을 기약하게 됐다.

그래미 어워즈를 주관하는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는 2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64회 그래미 어워즈 후보군을 발표했다.

그래미 어워즈는 이번에 총 86개 부문을 시상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올해의 앨범’,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신인상’ 등이 4대 본상인 ‘제너럴 필즈’(General Fields)로 불린다.

방탄소년단은 후보 발표에 앞서 올해 빌보드 ‘핫 100’ 10주 1위에 오른 히트곡 ‘버터’에 힘입어 ‘올해의 레코드’ 후보에는 오르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외신 등에서 나왔다.

그러나 실제 후보 발표에서는 저스틴 비버의 ‘피치스’, 빌리 아이리시의 ‘해피어 댄 에버’,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드라이버스 라이센스’ 등이 지목됐으며 방탄소년단 이름은 찾아볼 수 없었다.

방탄소년단은 대신 ‘버터’로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수상을 놓고 콜드플레이, 도자 캣, 토니 베넷·레이디 가가, 저스틴 비버·제니 블랑코와 경쟁하게 됐다.

방탄소년단은 앞서 지난 22일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erican Music Awards)에서 대상에 해당하는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Artist Of The Year)를 차지해 4년 연속 수상에 성공했다. 또 ‘빌보드 뮤직 어워즈’(Billboard Music Awards)에서도 2017년 이래 올해까지 5년 연속 트로피를 받았다.

따라서 이번 그래미 어워즈에서 수상에 성공한다면 방탄소년단은 미국 3대 음악 시상식을 모두 석권하는 K팝 역사에 새 기록을 쓰게 된다.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는 그래미 팝 장르 세부 시상 분야 중 하나로 2012년 신설됐다.

듀오 또는 그룹, 컬래버레이션 형태로 팝 보컬이나 연주 퍼포먼스에서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거둔 뮤지션에게 시상한다.

그동안 래퍼 릴 나스 엑스와 빌리 레이 사이러스의 ‘올드 타운 로드 리믹스’(2020년), 레이디 가가와 브래들리 쿠퍼의 ‘셸로’(2019년), 미국 록밴드 ‘포르투갈. 더 맨’의 ‘필 잇 스틸(2018년)’, 미국 듀오 트웬티 원 파일럿츠의 ‘스트레스드 아웃’(2017년) 등이 상을 받았다.

방탄소년단은 지난 시상식에서 아시아 가수 최초로 이 부문 후보에 올라 기대를 모았지만 실제 수상자로는 레이디 가가·아리아나 그란데가 선정됐다.

방탄소년단은 지난해 후보 지명 이후 “후보에 오르니 수상 욕심도 생기고 기대된다”고 밝히는 등 그래미 수상에 대한 포부를 숨기지 않아 왔다.

방탄소년단은 2019년 제61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시상자로 나서면서 처음 이 시상식과 인연을 맺었다.

지난해 제62회 시상식에서는 릴 나스 엑스와 합동무대를 펼쳤고, 올해 3월 제63회 시상식에서는 후보 자격으로 히트곡 ‘다이너마이트’(Dynamite) 단독 무대를 꾸몄다.

이번 시상식에서도 ‘버터’로 무대를 꾸밀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가운데, 대중음악 분야 한국인 첫 수상이 실현될지 주목된다.

대중음악 부문 이외의 클래식 분야에서는 이미 그래미 수상자가 나와 한국 음악계의 역량을 보여준 바 있다.

1993년 제35회 시상식에서 소프라노 조수미가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와 녹음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이 그해 클래식 오페라 부문 ‘최고 음반상’(Best Opera Recording)에 선정됐다.

음반 엔지니어인 황병준 사운드미러코리아 대표는 미국 작곡가 로버트 알드리지의 오페라 ‘엘머 갠트리’를 담은 음반으로 2012년 제54회 시상식에서 그래미 클래식 부문 ‘최고 기술상’(Best Engineered Album, Classical)을 받았다.

그는 이어 2016년 제58회 시상식에서는 찰스 브러피가 지휘하고 캔자스시티합창단과 피닉스합창단이 연주한 라흐마니노프의 ‘베스퍼스: 올 나이트 비질’로 ‘최우수 합창 퍼포먼스’(Best Choral Performance) 부문을 수상했다.

방탄소년단이 이번에 후보군에 들지 못한 ‘제너럴 필즈’는 1982년 남편인 존 레넌과 함께 수상한 오노 요코 외에는 지금껏 한 번도 아시아 아티스트에게 수상을 허락한 적이 없다.

이번 후보 발표를 두고 아미(방탄소년단 팬)와 외신 등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트위터에서는 방탄소년단이 작년과 같은 1개 부문 후보에만 오른 것을 두고 ‘#Scammys’(Scam·사기와 그래미의 합성어)라는 해시태그를 단 글이 잇따르고 있다.

AP 통신 등 외신들도 “방탄소년단의 ‘버터’는 올여름 메가 히트곡이지만 그래미는 단 1개 부문 후보에만 올려놨다”고 전했다.

제64회 그래미 어워즈는 내년 2월 1일(현지시간 1월 3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열린다.

/연합뉴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37722230729622010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20:5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