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군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박차
5년간 국비 250억원 투입
해조류 활성소재 생산시설 구축
기업에 해조류 추출 물질 공급
연구소 건립·스타트업 기업 유치
2021년 04월 20일(화) 00:00
완도군이 전국 최대 해조류 생산량을 기반으로 해양바이오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선진국과 글로벌 제약 회사들이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면서 주목받는 산업이다.

해양바이오산업은 지구 생물 종의 80% 이상인 약 30만 종의 생명체가 사는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해양바이오를 소재로 활용한다.

특히 상업적으로 개발된 해양생물 자원은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완도군은 해양생물 자원 중에서도 해조류를 활용한 해양바이오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해조류를 활용한 해양바이오산업은 미역, 다시마 등에서 얻는 알긴산, 후코이단(항암 효과) 등을 의약품, 의료용 소재·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연평균 성장률이 17%일 정도로 발전 가능성이 높다.

전국 해조류 생산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완도군은 해양수산부와 함께 해조류 기반 바이오소재 공급기지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군은 이러한 전략과 연계해 해양바이오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을 통해 완도에서 생산되는 해조류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신규 국비 지원 사업으로 ‘해조류 활성소재 생산시설 구축’ 사업을 추진해 5년간 총 250억원을 투입한다.

원료 물질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해양바이오기업에 완도산 해조류에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해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생산 등을 위한 원료 소재 공급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완도군 신지면에 조성 예정인 해양바이오연구단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해양바이오 연구 인프라도 조성 중이다.

110억원을 투입해 해양바이오 공동협력 연구소를 건립해 국내외 기업연구소 10개와 스타트업 30개소를 유치하고 우수한 연구 성과가 산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인프라 구축 이외에도 연구개발(R&D) 사업도 펴고 있다.

국내외 해양바이오 연구소와 협력해 해양바이오산업화 촉진을 위한 바이오 유용소재 개발 연구사업과 해조류 기능성 효능 분석과 인증을 위한 유효성 평가 실증 지원센터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총괄취재본부장 ejhung@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18844400719038152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4일 01:3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