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박람회장 사후 활용, 공공개발로 ‘가닥’
해수부 용역…여수광양항만공사 주도
주철현 의원 “경제적 타당성도 확인”
항만공사법 등 관련 법 개정 필요
2021년 03월 31일(수) 22:40
해양수산부의 ‘여수세계박람회장 사후 활용 방안’ 용역 결과,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박람회장을 공공 개발하는 안이 우선순위에 꼽혔다. 사진은 여수세계박람회장 전경. <여수시 제공>
수 년째 사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했던 여수박람회장을 여수광양항만공사가 공공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31일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여수 갑)에 따르면 최근 여수박람회장에서 열린 ‘2012 여수세계박람회장의 공공투자 및 개발 용역 결과보고회’에서 여수박람회장의 민간개발계획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공공 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보고회는 지난 1년간 해양수산부가 실시한 여수박람회장의 사후 활용에 대한 용역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였다.

용역팀은 박람회장 활용에 대해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인수해 공공 개발하는 방안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다.

민간 개발에서 공공 개발로 변경하고, 박람회 재단의 권리와 의무를 항만공사가 승계해 박람회장 전체의 소유권을 취득하고 사후활용사업 주체로 개발하는 방안이다.

여수박람회장 공공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할 때 수익사업을 발굴하고 수익사업 투자계획을 조정하면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박람회장을 인수해 운영하면 2050년까지 666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투자금액 대비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의 비율인 ‘수익성 지수(PI)’도 0.93∼0.98로 예상돼 수익성 확보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지수는 투자한 금액 1원당 회수하는 금액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PI가 ‘1’보다 크면 투자 가치가 있다고 본다.

개발 주체가 여수세계박람회재단에서 여수광양항만공사로 변경되면 항만공사는 2025년까지 정부에 선투자금 3658억원을 상환해야 한다.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박람회장을 개발하려면 여수박람회법과 항만공사법 등 관련 법률 개정도 필요하다.

이에 따라 주철현 의원은 4월 관련법 개정을 위한 입법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주 의원은 “여수광양항만공사 중심의 공공개발은 해수부와 전남도, 여수시, 시민사회 등 여수지역 모두가 바라는 일이고 경제적 타당성도 확인됐다”며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은 친환경적 개발, 지역민 참여 보장, 공공성 등 3대 원칙이 관철되는 공공개발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수세계박람회장은 2013년부터 사후활용을 위해 민간 매각이 추진됐으나 평가 결과 사업 내용이 박람회 성격과 맞지 않아 모두 무산됐다.

2017년에는 복합상업시설 구역에 4개 업체가 투자 의사를 밝혀 제안서를 받았으나 역시, 부적격 판단이 나왔다.

박람회장 운영을 위해 매년 100억원이 필요하지만, 자체 수입은 80억원에 불과해 사후 활용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해수부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여수세계박람회재단 사후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여수=김창화 기자 ch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1719800071772813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21:3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