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단체 내부 반목 이제 그만할 때도 됐지 않나
2021년 01월 22일(금) 00:00
사단법인에서 공법단체로 전환을 앞두고 있는 5월 단체들이 내부 반목으로 갈등을 빚고 있다. 갈등 이면에는 이익을 놓고 벌이는 주도권 다툼도 내재돼 있어 지역민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1980년 이후 40년간 5·18민주화운동을 이끌어 온 5월 3단체(5·18민주화운동 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현재 국가가 인정하는 공법단체로 전환을 앞두고 있다. 올해 초 ‘5·18민주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공포된 데 따른 것이다. 보훈처가 다음달 5일 안에 3단체로부터 설립준비위원회 명단을 제출받아 위원장과 임원을 승인하게 되면 4월 5일 공법단체가 정식 출범된다.

5월 3단체의 공법단체화는 5·18 관련자는 물론 지역민의 오랜 숙원이었다. 공법단체 등록이 이뤄지면 정부로부터 보조금 등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합법적인 수익 사업도 가능해진다. 5월 단체의 재정 개선과 5·18 정신 계승 사업의 다각화를 위해서도 반길 일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정부 지원과 수익 사업이란 이권이 눈앞에 펼쳐지자 일부 단체를 중심으로 준비위원회에 자기 사람 심기와 같은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구속부상자회가 이름을 바꾼 공로자회 구성을 놓고는 내부 고소·고발이 이뤄져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새롭게 만들어진 ‘5·18공로자회 설립추진위’는 공로자회 설립준비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보훈처를 상대로 법원에 ‘집행업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급기야 5월 3단체 지도부는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공법단체 회장과 임원들은 공인으로서의 자질과 도덕성을 갖춰야 한다며 5개 항의 자정과 혁신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제 5월 단체 관계자들은 어렵게 공법단체 설립이라는 숙원을 이룬 만큼 대의를 위해 작은 욕심을 버리고 협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더 이상의 진흙탕 싸움으로 민주 영령과 광주 시민을 모욕해서는 안 된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1124120071314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22:4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