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성 靑 수석 “MB·朴 사면, 국민 눈높이서 해야”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은 13일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론과 관련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결정해야지 정치적 공방을 할 필요도 없고 해서도 안 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는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 형량 선고가 예정됐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사면 논란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청와대가 전날 출입기자단에 최 수석의 라디오 인터뷰 사실을 사전 공지한 점을 고려하면 내부 조율을 거쳐 나온 공식 입장으로 보인다.
최 수석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사면은 대통령 고유권한이지만 이 권한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이다. 국민이라는 두 글자를 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수석은 또 “여당에서 사과와 반성을 얘기하자 국민의힘 일각에서 ‘무슨 사과 요구냐’ 이런 얘기가 나오는데 이는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박 전 대통령의 경우는 사과를 안 했지만 사실 당(국민의힘)에서는 사과하지 않았나”라며 “그런데도 당 일각에서 ‘정치 재판, 잘못된 재판’이라고 하는 건 서로 충돌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수석은 문재인 대통령과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회담에 대해서는 “문을 열어두고 타진을 하고 있다”면서 “김 대표가 의사만 보이면 진행을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그는 “여야정 상설협의체 복원도 타진하고 있다”며 “오래전부터 제안해 온 일이기 때문에 복원이 빠를수록 좋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답방 및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을 두고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면서도 “미국 새 행정부 출범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가 남북정상회담의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이는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 형량 선고가 예정됐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사면 논란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청와대가 전날 출입기자단에 최 수석의 라디오 인터뷰 사실을 사전 공지한 점을 고려하면 내부 조율을 거쳐 나온 공식 입장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답방 및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을 두고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면서도 “미국 새 행정부 출범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가 남북정상회담의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