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참총장의 첫 사죄 5·18 진상규명 계기로
우리 군(軍)이 40년 만에 처음으로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집단 발포 등에 대해 공식 사죄했다. 남영신 육군참모총장은 최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육군본부 국정감사에서 “1980년 5·18에 광주민주화운동에 군이 개입한 건 대단히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민주화운동 희생자와 유족분들에게 큰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은 “5·18 당시 군이 민주주의를 외치는 수많은 광주 시민을 향해 총칼을 휘두르는 만행이 있었지만 40년간 역대 육군총장 누구도 사죄하거나 무릎을 꿇은 일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남 총장은 “희생자들의 뜻은 민주화 운동이고, 평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반목보단 화해와 용서가 중요하고, 오늘 저는 진심으로 사죄를 할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남 총장은 발언 후 자리에서 일어나 허리를 굽혀 사죄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남 총장의 사죄에 대해 5·18단체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만시지탄의 아쉬움이 있지만 육군의 최고 책임자가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하며 환영한다”고 밝혔다.
40년 만에 처음 이뤄진 육참총장의 사죄가 이제 5·18 진상 규명의 촉진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특히 당시 군 관련자들의 참회와 고백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아울러 5·18 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대한 국방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
남 총장의 사죄에 대해 5·18단체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만시지탄의 아쉬움이 있지만 육군의 최고 책임자가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하며 환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