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제 받지 않는 권력’은 민주주의의 적이다
2020년 07월 10일(금) 00:00
김형준 명지대 교양대학 교수(정치학)
최근 문재인 대통령 국정 운영 지지도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한국갤럽의 7월 1주( 6월 30일~7월 2일) 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 한다’는 긍정 평가는 50%였다. 5월 1주(71%)와 비교해 두 달 만에 지지율이 무려 21% 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총선의 총 유권자 수가 4400만 명인데, 숫자로만 보면 무려 1100만 명 이상이 이탈한 셈이다. 인천국제공항 정규직화 논란, 북한의 남북연락사무소 폭파로 인한 대북 관계 악화, 6·17 부동산 대책 실패, 법무부 장관과 검찰 총장 격돌 등의 악재가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그러나 근원적인 요인은 총선 압승 이후 드러난 정부 여당의 ‘견제 받지 않는 권력’ 때문이다. 최근 대통령 말 한마디에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행정 독재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대통령의 하명에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 원의 추경 예산이 국회에서 심사 5일 만에 처리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법무부 장관과 여당이 정권 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총장을 압박해 사퇴시키려고 하는 것도 절제되지 않는 권력이 몰고 온 기현상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든 권력이 국민이 아닌 문재인으로부터 나온다”는 ‘문주주의’(文主主義)라는 신조어마저 등장했다. 통상 견제받지 않는 권력에 도취된 정부는 정책 실패에 무감각해지고, 자신들의 무능과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남의 탓만 한다. 부동산 대책 실패 논란에도 불구하고 국토부 장관은 “지금까지 정책은 다 종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책임을 회피했다.

그뿐만 아니라 국회가 오랜 기간에 걸쳐 쌓아 온 규범과 관행이 하루아침에 헌신짝처럼 버려지고 있다. 제16대 국회(2004년)부터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게 주었던 법사위원장을 여당이 차지했다. 제13대(1988년) 국회부터 의석 비율대로 여야가 상임위원장을 나눠 가지던 협치의 전통마저 깨지고 여당이 17개 국회 상임위원장을 독식했다.

여하튼 민주화세력을 자부하는 정부 여당이 ‘제도적 자제와 상호 존중’의 규범을 무시하면서 ‘일당 독재’에 빠져들고 있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효율적이고 건강한 정부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권력은 스스로 견제받아야 한다. 야당, 언론, 시민단체, 지식인, 그리고 시민들에 의해 권력이 무차별적으로 견제받아야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성숙한다. 그런데 작금의 대한민국 현실은 어떠한가?

보수가 몰락하면서 야당은 무기력해졌고, 일부 언론은 ’진실 보도’를 외면한 채 정치적·정파적·이념적으로 이용되는 소재에만 치중하고 있다. 권력을 감시해야 할 시민단체(NGO)가 정치권력 비판의 칼을 내팽개친 것도 모자라, 정치권 진입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오히려 권력화되고 있다.

양식 있는 지식인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식인을 자처하는 몰염치한 ‘어용 지식인’들이 활개치고 있다.

물론 촛불 혁명 이후 시민들의 능동적·자발적 참여는 늘어나고 있다. 깨어 있는 시민의 힘이 코로나19의 재난 극복의 견인차 역할도 했다. 그러나, 최근엔 팬덤 정치가 기승을 부린다. 일명 ‘문빠’로 불리는 열성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은 진영 내 어떠한 이견과 비판도 허용하지 않는다. 정부 정책에 반대 목소리를 내면 적폐 세력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런 기형적인 상황에서 나라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는 없다.

한국리서치는 ‘국정 방향 공감도’를 격주로 발표하고 있다. 지난 5월 1주 조사에서 “우리나라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은 54%였다. ‘올바르게 가고 있지 않다’(32%)보다 12% 포인트나 많았다. 그러나 7월 1주 조사에서는 그 비율이 43% 대 44%로 역전되었다. 더구나 16개 정책별 긍정 평가가 대통령 국정 운영 평가보다 훨씬 낮았다. 주거·부동산 긍정 평가는 25%에 불과했다.

이것은 현 정부의 정책 능력이 아주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책 실패로 인한 성난 민심을 잡으려면 정부 여당에겐 지금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점이다. 더욱 겸손한 자세로 권력을 제도적으로 자제해야 한다. 최고의 전문가를 등용해서 정책 능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분명 겸손과 유능이 최상의 정책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94306800699550080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2일 21: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