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마늘 가격 폭락 막자” 정부 조기 수매 착수
올 5만여t 과잉생산 예상…전남 1761t등 1만t 수매시작
마늘 농가들 1kg당 수매가 4000원 보장·수매 확대 요구
마늘 농가들 1kg당 수매가 4000원 보장·수매 확대 요구
![]() 올해 마늘이 5만t 이상 과잉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전남 1761t 등 1만t에 대한 햇마늘 수매를 시작했다. <aT 제공> |
올해 마늘이 5만t 이상 과잉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전남 1761t 등 1만t에 대한 햇마늘 수매를 시작했다.
마늘 농가들은 1㎏당 수매가 4000원 보장과 수매 확대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번 정부 수매가 마늘값 급락을 막을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햇마늘(대서종·남도종) 정부 수매 물량은 전남 1761t 등 1만t으로 배정했다.
수매는 전남(1761t)과 충남(2119t), 경북(3612t), 경남(1357t), 제주(515t), 대구(367t), 전북(207t), 충북(67t) 등 8개 시·도지역에서 이뤄진다. 재배면적 100㏊ 미만 특·광역시와 계약재배에 참여하지 않은 시·도는 수매 대상에서 빠졌다.
지난해 정부는 전남 1285t, 경남 6646t, 경북 5071t 등 9개 시·도 34개 시·군(지역농협 101개)로부터 1만6350t를 사들였다.
올해 전남 수매 목표량은 지난해 수매량보다 37%(476t) 늘어났다. 지난해 전남에서는 남도종 781t(저온 304t)과 대서종 504t이 정부 수매됐다.
올해는 수매가는 지난해와 같게 1등급(대서종 5.5㎝ 이상·남도종 5.0㎝)은 ㎏당 2300원, 2등급(대서종 4.5㎝·남도종 4.0㎝) ㎏당 2100원으로 정했다.
수매 대상은 농협과 재배계약은 맺은 농가들로, 마늘의무자조금에 가입한 농가도 해당한다.
aT는 올해 마늘 생산량이 5만t 이상 과잉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난해보다 수매 시기를 한 달 보름 앞당긴 지난 28일부터 오는 8월까지로 확정했다.
정부수매는 단기처방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올해는 수매 대상을 마늘자조금 가입 농가로 제한하고 수매 과정에서 농가로부터 내년 재배면적을 5% 감축하다는 동의를 받고 있다. 올해 시·도별 수매 신청·배정량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재배면적 조절 실적을 반영해 수매 대상을 넓히기로 했다.
지난 25일 기준 광주양동시장에서 팔린 깐마늘 1㎏ 가격은 6000원으로 1년 전 가격(7000원) 보다 14% 떨어졌다.
이기우 aT 수급이사는 “과잉생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부진까지 더해져 마늘가격 하락 등 생산농가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수매가 조기에 시행됨으로써 과잉 물량의 신속한 시장격리가 이루어져 성출하기 안정적인 가격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마늘 농가들은 1㎏당 수매가 4000원 보장과 수매 확대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번 정부 수매가 마늘값 급락을 막을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햇마늘(대서종·남도종) 정부 수매 물량은 전남 1761t 등 1만t으로 배정했다.
지난해 정부는 전남 1285t, 경남 6646t, 경북 5071t 등 9개 시·도 34개 시·군(지역농협 101개)로부터 1만6350t를 사들였다.
올해 전남 수매 목표량은 지난해 수매량보다 37%(476t) 늘어났다. 지난해 전남에서는 남도종 781t(저온 304t)과 대서종 504t이 정부 수매됐다.
수매 대상은 농협과 재배계약은 맺은 농가들로, 마늘의무자조금에 가입한 농가도 해당한다.
aT는 올해 마늘 생산량이 5만t 이상 과잉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난해보다 수매 시기를 한 달 보름 앞당긴 지난 28일부터 오는 8월까지로 확정했다.
정부수매는 단기처방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올해는 수매 대상을 마늘자조금 가입 농가로 제한하고 수매 과정에서 농가로부터 내년 재배면적을 5% 감축하다는 동의를 받고 있다. 올해 시·도별 수매 신청·배정량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재배면적 조절 실적을 반영해 수매 대상을 넓히기로 했다.
지난 25일 기준 광주양동시장에서 팔린 깐마늘 1㎏ 가격은 6000원으로 1년 전 가격(7000원) 보다 14% 떨어졌다.
이기우 aT 수급이사는 “과잉생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부진까지 더해져 마늘가격 하락 등 생산농가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수매가 조기에 시행됨으로써 과잉 물량의 신속한 시장격리가 이루어져 성출하기 안정적인 가격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