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두기 완화했지만 일상 복귀는 시기상조
2020년 04월 21일(화) 00:00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어린이날인 다음달 5일까지 연장 시행되지만 강도는 낮춰진다. 민간시설은 방역 수칙을 지키며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 현재 방역 지침 준수 명령을 유지하되 운영 중단 강력 권고는 해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현재 수준의 안정적 관리가 이어진다면 5월6일부터는 일상생활 속에서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생활 속 거리 두기’(생활방역)로 전환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이는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것을 반영한 결정이다.

이와 관련 정세균 국무총리는 “제한이 완화됨에 따라 위험을 낮추기 위한 세심한 방역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당연한 말이다. 이달 말부터 내달 초까지 이른바 ‘황금연휴’를 앞둔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자칫 코로나19가 재확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역의 끈은 계속 조여야만 한다.

물론 어제부로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4개월째로 접어든 만큼 경기침체가 심화하면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게다가 일상의 피로감을 호소하는 개개인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의 완화를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는 신호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잠시라도 방심하면 빠르게 빈틈을 파고들 수 있는 것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성이며, 언제 2차 감염 폭발이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코로나 위세가 수그러드는 듯했던 중국에서도 최근 무증상 감염이 두 자릿수로 발생하고 있다.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당분간은 우리 모두 방역 지침을 철저히 지켜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7394800694001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3일 20:4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