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유아 영어유치원 코로나19 관리 ‘사각’
유치원은 무기한 휴원인데
원생 1000여명 12곳 정상영업
학원 시설 분류 휴원 조치 피해
면역력 취약한 유아 감염 위험
원생 1000여명 12곳 정상영업
학원 시설 분류 휴원 조치 피해
면역력 취약한 유아 감염 위험
교육 당국이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유치원 휴원을 무기한 연장했지만, 고소득층 자녀(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어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사설학원인 이른바 ‘영어유치원’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수업을 하고 있어 시민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2일 광주시교육청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등에 따르면 광주에는 유아반을 운영하는 영어유치원 12곳이 있으며, 학생 수는 1000여 명에 달한다.
일반 유치원들은 휴원 상태로 긴급 돌봄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지만 영어유치원들은 대부분 정상 운영을 재개했다.
영어유치원은 명칭만 유치원일 뿐 유아교육법에 의한 시설이 아닌 학원법으로 분류된 어학원 형태의 학원 시설인 점을 이용, 교육부의 유치원 휴원 조치를 교묘히 피해가고 있는 것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아무리 법적으로 유치원이 아닌 학원일지라도 초등 입학 전 유아들이 다니는 학원이라면 유치원 휴원 조치에 따르는 게 교육 기관의 기본 양식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영어유치원측의 수업 강행은 학원측의 운영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월 100만원이 넘는 비싼 수업료와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학부모의 욕심 탓에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역 전문가들은 면역력이 취약한 유아들이 최장 8시간까지 장시간 수업을 듣는데다 외부 강사의 출입이 잦은 밀폐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영어 유치원뿐 아니라 대형 입시 학원들도 짧은 기간 휴원 후 수업을 재개하는 곳이 점차 늘고 있다. 일부 학원은 휴원 기간 수업 결손을 토요일 수업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지난달 27일 기준 광주 4761개 학원·교습소 가운데 휴원한 곳은 378곳(7.9%)에 그쳤다. 1차 개학 연기 당시 50%에 육박했던 휴원율은 10%를 밑돌고 있는 것이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관계자는 “휴원을 법적으로 강제할 근거도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뒷받침할 제도도 없어 강력한 지도 감독을 하기 힘들다는 것은 인정한다”며 “다만 건강, 생명, 안전보다 돈에 휘둘리는 사고방식으로는 코로나19가 몰고 온 재난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 영어 유치원, 대형학원 등에 휴원을 독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2일 광주시교육청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등에 따르면 광주에는 유아반을 운영하는 영어유치원 12곳이 있으며, 학생 수는 1000여 명에 달한다.
영어유치원은 명칭만 유치원일 뿐 유아교육법에 의한 시설이 아닌 학원법으로 분류된 어학원 형태의 학원 시설인 점을 이용, 교육부의 유치원 휴원 조치를 교묘히 피해가고 있는 것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아무리 법적으로 유치원이 아닌 학원일지라도 초등 입학 전 유아들이 다니는 학원이라면 유치원 휴원 조치에 따르는 게 교육 기관의 기본 양식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방역 전문가들은 면역력이 취약한 유아들이 최장 8시간까지 장시간 수업을 듣는데다 외부 강사의 출입이 잦은 밀폐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영어 유치원뿐 아니라 대형 입시 학원들도 짧은 기간 휴원 후 수업을 재개하는 곳이 점차 늘고 있다. 일부 학원은 휴원 기간 수업 결손을 토요일 수업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지난달 27일 기준 광주 4761개 학원·교습소 가운데 휴원한 곳은 378곳(7.9%)에 그쳤다. 1차 개학 연기 당시 50%에 육박했던 휴원율은 10%를 밑돌고 있는 것이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관계자는 “휴원을 법적으로 강제할 근거도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뒷받침할 제도도 없어 강력한 지도 감독을 하기 힘들다는 것은 인정한다”며 “다만 건강, 생명, 안전보다 돈에 휘둘리는 사고방식으로는 코로나19가 몰고 온 재난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 영어 유치원, 대형학원 등에 휴원을 독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