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인 총선 대진표 이젠 유권자 심판만 남았다
2020년 03월 30일(월) 00:0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등록이 마감되면서 4·15 총선에 나서는 광주·전남 후보자들의 대진표가 확정됐다. 광주는 8개 선거구에 42명이 등록해 5.25대 1, 전남은 10개 선거구에 45명이 등록해 4.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국 지역구 평균 경쟁률은 4.4대 1을 기록했다. 한데 뇌물수수, 폭력, 사기, 상습적 음주운전, 공직선거법 위반 등 시민의 상식으로 용납할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른 후보자들이 수두룩하다. 심지어 한 군소정당 후보자는 살인 전과까지 있었다. 후보들의 재산·병역·납세·전과·학력·공직선거 경력 등 신상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 통계 시스템에 선거일까지 공개된다.

광주·전남 지역 후보자들도 하자가 많았다. 남성 후보 79명 중 19명이 군 복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등록일 현재 세금을 체납 중인 후보자는 세 명, 최근 5년간 세금을 내지 않은 이력이 있는 후보자는 열네 명으로 집계됐다. 우려스러운 것은 범죄 전력이 있는 후보가 열 명 중 네 명이 넘는다는 점이다. 87명의 후보 중 전과 보유자는 38명으로 43.7%에 달했다. 물론 이중에는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집회 및 시위와 관련한 법률이나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후보들도 있긴 하다.

하지만 청소년 강간과 집단 흉기 상해 같은 흉악 범죄나 상습 음주 운전, 공직선거법 위반 등 시민의 상식에 위배되는 범죄를 저지른 후보들이 버젓이 국회의원이 되고자 입후보한 것은 용납하기 힘들다. 이들 후보를 내세운 정당들도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처럼 정당이 국민을 대표하기는커녕 아예 시민사회에서 격리를 해도 모자랄 후보들을 내세운 것은 부실 검증과 구태 공천의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제는 유권자들이 부적격 후보의 국회 진출을 막아야 한다. 이번 선거는 코로나19 확산 우려 속에 각 정당과 후보들이 대면 선거 운동을 자제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깜깜이 선거’가 될 것이라는 걱정이 많다. 다음달 2일부터는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다. 유권자들은 투표일까지 남은 기간 선관위 홈페이지와 선거 공보에 공개되는 후보자 정보를 토대로 자질과 도덕성을 꼼꼼하게 검증해 함량 미달의 후보들을 걸러 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5494000692430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6일 19: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