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실업 대란’ 어떻게든 막아야
경기 침체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일자리를 잃어 실업 급여를 신청하는 실직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또 기업들은 줄줄이 신입 사원 채용 일정을 미루거나 취소하고 있다.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경제 한파가 고용 시장에 밀어닥치고 있는 것이다.
광주시 동구에 위치한 광주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요즘 실업 급여를 신청하려는 실직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지역 내 음식점업과 여행·관광업계 종사자들 그리고 건설업이나 숙박업, 제조업 등 여러 분야의 실직자들이 몰린 것이다.
실직자 증가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지난달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내 실업 급여 신청자는 364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3.4%(1269명)나 급증했다. 이들에게 지급한 실업 급여는 244억여 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3.5%(46억여 원)가 늘었다.
설상가상으로 주요 기업들은 채용 일정을 잇따라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나주 혁신도시 공공기관 상당수는 이달로 잡혀 있던 채용 일정을 4~6월로 미뤘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조사한 ‘2020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에서도 설문에 응한 126개 대기업 중 27.8%가 채용을 축소하거나 채용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상반기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는 기업도 32.5%나 됐다.
경제계 안팎에서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을 중심으로 ‘실업 대란’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들이 현재의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긴급 정책 자금 지원 등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아울러 청년 고용 장려금이나 일자리 안정 기금 등을 활용해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북돋아 주어야 한다. 기업들도 매출 감소 등으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경제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채용에 나서야 할 것이다.
광주시 동구에 위치한 광주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요즘 실업 급여를 신청하려는 실직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지역 내 음식점업과 여행·관광업계 종사자들 그리고 건설업이나 숙박업, 제조업 등 여러 분야의 실직자들이 몰린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주요 기업들은 채용 일정을 잇따라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나주 혁신도시 공공기관 상당수는 이달로 잡혀 있던 채용 일정을 4~6월로 미뤘다.
경제계 안팎에서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을 중심으로 ‘실업 대란’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들이 현재의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긴급 정책 자금 지원 등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아울러 청년 고용 장려금이나 일자리 안정 기금 등을 활용해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북돋아 주어야 한다. 기업들도 매출 감소 등으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경제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채용에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