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돌봄 확대·온라인 학습…교육청 개학 연기 후속대책 마련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의 개학이 일제히 연기된 가운데 광주·전남교육청이 초등 긴급돌봄 대상을 확대하는 등 후속대책 마련에 나섰다.
광주시교육청은 24일 오전 장휘국 교육감 주재로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개학 연기에 따른 긴급 돌봄 대책과 가정학습, 생활지도 등을 논의했다. 긴급 돌봄은 기존 돌봄교실 대상인 맞벌이 부모를 둔 자녀로 한정하기로 했다. 또 2020학년도 입학을 앞둔 신입생들도 돌봄 범위에 포함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이러한 내용을 일선 학교에 통보하고 학부모들에게 전달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전남교육청도 기존 비상대책반을 ‘사고수습본부’로 확대 운영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대응수위를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도교육청은 특히 오는 3월 2일로 예정된 2020학년도 새 학기 개학이 국가 차원에서 1주일 연기됨에 따른 후속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개학연기와 관련한 가정통신문을 학부모에게 보내 불안감을 덜어주고, 온라인을 통한 가정학습 지원책도 강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방학기간 조정 등 개학연기로 인한 법정 수업일수 확보 방안을 적극 강구하고 ‘가족 돌봄휴가제’ 등 맞벌이 가정을 위한 긴급 돌봄 서비스 지원책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안전대책을 철저하게 강구한 뒤 학교돌봄 서비스와 아이돌봄 도우미를 제공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도내 사설 학원이나 교습소에 대해서도 휴원을 적극 권고하고, 보건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에 대해 보건인력 77명을 지원하기로 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광주시교육청은 24일 오전 장휘국 교육감 주재로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개학 연기에 따른 긴급 돌봄 대책과 가정학습, 생활지도 등을 논의했다. 긴급 돌봄은 기존 돌봄교실 대상인 맞벌이 부모를 둔 자녀로 한정하기로 했다. 또 2020학년도 입학을 앞둔 신입생들도 돌봄 범위에 포함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이러한 내용을 일선 학교에 통보하고 학부모들에게 전달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특히 오는 3월 2일로 예정된 2020학년도 새 학기 개학이 국가 차원에서 1주일 연기됨에 따른 후속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개학연기와 관련한 가정통신문을 학부모에게 보내 불안감을 덜어주고, 온라인을 통한 가정학습 지원책도 강구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도내 사설 학원이나 교습소에 대해서도 휴원을 적극 권고하고, 보건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에 대해 보건인력 77명을 지원하기로 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