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공공기관 지역 상생 위해 나섰다
2019년 12월 19일(목) 04:50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맞춤형 지역 발전 계획을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빛가람 혁신도시 내 17개 이전 기관들은 엊그제 나주에서 열린 지자체와의 통합 워크숍에서 내년에 추진할 기관별 지역 발전 계획을 내놓고 지자체에 참여해 줄 것을 제안했다.

한전의 경우 경제 활성화를 위해 청년 창업 플랫폼과 사회적 경제 금요 장터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역민 교류 활동으로 청소년 전력 사업 체험, 1사 1촌 자매 마을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관련 사업비는 전액 한전이 부담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전 KDN과 한전 KPS는 농어촌 지역 사회복지 시설 태양광 패널 설치와 PC실 신축·환경 개선 등을 담은 계획을 제시했다.

또한 우정사업정보센터는 ‘블록체인 기반 지급 결제 서비스’를 확산시키기 위해 ‘빛가람 페이’를 도입해 소상공인들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농업 관련 기관인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등은 농촌 체험 교실과 스마트 팜 분야 기업·기관들을 연계한 기술 교육·컨설팅 사업을 제안했다.

이번 계획은 과거와 달리 공공기관들 스스로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상생 계획을 마련해 지자체에 참여를 요청한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에는 자치단체들이 계획을 수립해 이전 기관들을 찾아다니며 제안하고 참여해 줄 것을 호소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현행 혁신도시 특별법은 이전 공공기관이 자치단체장과 협의해 매년 지역 발전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사업에 대한 양측의 입장 차 때문에 성과가 크지 않았다고 한다. 이번 공공기관들의 자발적인 지역 발전 계획 제안이 의미가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제 지자체와 공공기관들은 사업 계획에 대한 면밀한 사전 협의와 조율을 거쳐 혁신도시가 실질적인 지역 활성화와 상생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76698600685305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7일 13:4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