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무리한 요구 접자…노동계, 광주노사민정 협의회 막판 참여
2019년 09월 20일(금) 04:50
“근로자 평균 임금 문제, 노동이사제 도입 불가 등 노동계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으로 된 안건이 현대자동차 측 요구로 제시됐다.”

광주 노동계 한 인사는 지난 18일 광주시청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광주시 노사민정 협의회’ 무산 원인으로 현대자동차 측의 무리한 요구를 지목했다.

노동계 인사는 그러면서 “19일 개최된 노사민정협의회에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등 노동계 인사 3인이 막판 참여하게 된 것은 노동계 반발을 꺾지 못한 현대차가 스스로 요구안을 거둬들였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렇다면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노사상생형 광주형일자리 자동차공장 합작법인 (주)광주글로벌모터스 2대 주주인 현대자동차 측이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에 의결해달라고 요구했던 원안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

광주 노동계에 따르면 애초 안건에는 ▲근로자 임금 책정 기존 방침 재확인 ▲노동이사제 도입 논의 및 요구 불가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실무위원회 신설 등이 담겼다고 한다.

지역 노동계는 이에 대해 “경력·신입 등 근로자 평균 임금문제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다. 또한 노사민정협의회 산하에 실무위원회를 꾸려 이를 중심으로 주요 사항을 결정하겠다는 것은 노사민정협의회를 무력화시켜 현대차가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노동이사제의 경우 노사상생형 일자리 정신을 생각한다면 노동이사제 도입 논의조차 않겠다는 확약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올 1월 초 광주시-현대차 투자협약서를 기본으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논의됐다. 오늘 최종 의결, 발표된 것이 공식 입장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khh@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68922600677344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9일 19:4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