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 정부 규제완화·주민협조 등 힘 모아야
![]() 영광군 백수염전 일대에 늘어선 풍력발전기. |
전남을 에너지 신산업 시대를 이끄는 ‘글로벌 에너지 메카’로 만들겠다는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전남의 에너지 산업 잠재력이 큰 만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제도 정비를 비롯한 규제 완화, 주민 협조, 기술인력 양성 등이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용호 녹색에너지연구원 원장은 8.2GW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전남 발전을 이끌어갈 마지막 남은 아이템 중 하나로 꼽았다. 단지 조성으로 11만7500여개의 직·간접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풍력발전기 생산·조립 기업들이 전남으로 옮겨오고 배후단지가 개발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만큼 정부와 전남도, 한전이 합심해 기회를 살려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 원장은 특히 해상에서 육지로 대규모 전력을 송전할 계통연계(전력망 연결) 비용(2조3000억원·345㎸)을 부담스러워하는 민간 기업의 입장을 반영, 한전과 정부가 선투자하고 민간기업들이 나중에 투자비를 갚아나가는 형태로 제도를 정비, 관련 산업 활성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전공대가 에너지 신소재·AI ·첨단 그리드·차세대 송전·에너지 환경 등 5대 에너지 분야 원천기술을 중점 연구하면서 인근 기업들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 연구가 신속하게 제공되는 환경을 조속하게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자치단체, 언론, 시민단체 등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미흡한 태양광 발전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을 줄일 영농형, 주민참여형 발전에 대한 규제 완화도 전남의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이끄는 데 도움이 될 정책으로 꼽았다.
문채주 목포대 전기및 제어공학과 교수도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완화가 파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허가 절차, 해양환경영향평가 등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조사, 주민 동의, 계통연계망 등은 정부 역할이 크다는 점에서 지역 정치권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정부의 신속한 행동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간척지를 농업용으로 사용하기까지 태양광 발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면 태양광 발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제안도 내놓았다. /김지을 기자 dok2000@
허 원장은 특히 해상에서 육지로 대규모 전력을 송전할 계통연계(전력망 연결) 비용(2조3000억원·345㎸)을 부담스러워하는 민간 기업의 입장을 반영, 한전과 정부가 선투자하고 민간기업들이 나중에 투자비를 갚아나가는 형태로 제도를 정비, 관련 산업 활성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흡한 태양광 발전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을 줄일 영농형, 주민참여형 발전에 대한 규제 완화도 전남의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이끄는 데 도움이 될 정책으로 꼽았다.
문채주 목포대 전기및 제어공학과 교수도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완화가 파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허가 절차, 해양환경영향평가 등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조사, 주민 동의, 계통연계망 등은 정부 역할이 크다는 점에서 지역 정치권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정부의 신속한 행동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간척지를 농업용으로 사용하기까지 태양광 발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면 태양광 발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제안도 내놓았다. /김지을 기자 dok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