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 탑승 개인용 친환경 이동수단…2022년까지 903억 투입
e-모빌리티 5043대·충전기 7272기 보급…택배·관광 등에 활용
2019년 09월 18일(수) 04:50
전남도가 ‘블루 이코노미’ 실현을 위한 핵심프로젝트로 추진하는 ‘e-모빌리티산업’ 의 생태계 조기 구축을 통한 시장 선점에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계기로 조기에 시장을 선점하면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외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게 전남도 구상이다.

전남도는 17일 ‘e 모빌리티 보급·확산을 위한 중기 계획’에 따라 오는 2022년까지 국비 731억 원 등 총사업비 903억 원을 들여 전남 전역에 e-모빌리티 5043대, 충전기 7272기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모빌리티의 경우 지난해까지 220대가 보급되는 것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22.9배나 급증한 것이다. 충전기도 지난해까지 보급량(2112기)에 견줘 3.4배나 늘어나게 된다.

‘e-모빌리티’는 기존의 승용차와 차별화된 친환경 전기구동방식의 1~2인 탑승의 개인용 이동수단인 일렉트릭 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네트워킹에 모바일 개념을 도입하는 의미인 일렉트로닉 모빌리티(Electronic Mobility)라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동안 미래형 이동수단으로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기존 자동차산업에 기반한 법과 제도, 도로 상황 등 규제에 막혀 산업 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전남도는 그러나 최근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만큼 운행 범위 및 규격 제한 등이 완화돼 전남을 중심으로 기업 집적화와 산업생태계 조성이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부지는 영광 대마산단을 중심으로 영광, 목포, 신안 일대 7개 구역에 면적만 272만9000㎡, 도로 37㎞에 달한다.

당장, 택배, 관광, 사회복지, 대중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e-모빌리티를 활용한 사업 모델이 만들어져 새로운 시장 창출과 함께 산업 규모가 큰 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남도 분석이다.

전남도는 이같은 점을 감안, 영광을 중심으로 특화된 e-모빌리티산업의 성장에 힘써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올해 말부터 영광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로 양산될 e-모빌리티를 도내 공공기관을 통해 우선 구매토록 하는 한편, 반경 40~60㎞ 간격으로 공용충전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민간부문도 e-모빌리티와 이동형 충전기 구매보조금을 확대·신설하고 긴급충전서비스, 공용충전기 보급 등 충전인프라 확대를 통해 e-모빌리티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내년부터는 도비 보조금을 넓혀 도민의 e-모빌리티 구매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초소형전기차는 최대 1000만 원, 전기이륜차는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전남도는 또 e-모빌리티 선도지역에 걸맞게 충전기 보급사업에도 직접 나서 민간완속충전기(도비 43만 원)와 공공완속충전기(도비 150만 원, 시군비 150만 원) 설치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여기에 e-모빌리티 특화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시범도시를 조성하고 e-모빌리티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시범 도시를 선정, 도시·농촌형의 e-모빌리티 공유서비스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민·관의 적절한 투자와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내면서 전남의 e-모빌리티산업이 조만간 미래자동차 시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568749800677027012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14: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