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5·18 기념행사 첫 3인 공동위원장 체제로
40주년 앞두고 전국화 시도
서울·부산 등 타지역 출신 선임
다양한 인사 직·간접 접촉
서울·부산 등 타지역 출신 선임
다양한 인사 직·간접 접촉
‘5·18민중항쟁 제39주년 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가 5·18 40주년을 앞두고 기념행사의 전국화를 위해 새로운 시도에 나선다.
39주년이 되는 올해 처음으로 3인 공동 상임행사위원장 체제를 꾸려 광주·전남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의 행사도 활성화시켜 5월 정신 확산과 왜곡·폄훼 등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10일 행사위에 따르면 광주시, 5월 단체, 지역시민단체 등 19명으로 구성된 위원장단은 지난달 말 회의를 열고 ‘공동행사위원장’을 추가로 선임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위원장단은 지난해말 제39주년 상임행사위원장으로 김후식(78) 5·18부상자회장을 선출했다.
위원장단은 이번 회의에서 김 상임위원장 외에 저명 인사 2명을 더 선임해 5·18 행사 기간에 서울과 부산 등 타지역 기념행사를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 그동안 상임행사위원장은 1명이 맡아왔다. 이런 논의가 나온 배경에는 5·18 40주년 행사가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도 5월 행사의 전국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 39년 간 광주시와 5월 단체는 끊임없이 5월 행사의 전국화를 시도했지만, 광주·전남에 비해 타지역의 관심은 아직도 저조하다. 여기에 북한군 투입설, 5·18유공자 특혜설 등 5·18 왜곡·폄훼, 비하사건 등도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위원장단은 저명한 인사가 나서 1980년 5월 광주시민이 보여줬던 대동정신을 소개하고 전파한다면 이 같은 5·18 관련 각종 비하사건 등도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위원장단은 현재 서울과 부산지역의 기념행사를 각각 전담할 위원장을 찾기 위해 다양한 인사들을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후식 상임위원장은 “5월 정신 전국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타지역 저명인사를 위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위원들 내부에서 활발히 논의됐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5·18 39주년 기념행사는 예산 10억원을 투입, 5월1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 서울, 부산 등 전국에서 정신계승, 문화·예술, 학술·교육, 국제·타지역연대 등 50개 이상의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39주년이 되는 올해 처음으로 3인 공동 상임행사위원장 체제를 꾸려 광주·전남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의 행사도 활성화시켜 5월 정신 확산과 왜곡·폄훼 등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위원장단은 이번 회의에서 김 상임위원장 외에 저명 인사 2명을 더 선임해 5·18 행사 기간에 서울과 부산 등 타지역 기념행사를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 그동안 상임행사위원장은 1명이 맡아왔다. 이런 논의가 나온 배경에는 5·18 40주년 행사가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도 5월 행사의 전국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자리잡고 있다.
위원장단은 저명한 인사가 나서 1980년 5월 광주시민이 보여줬던 대동정신을 소개하고 전파한다면 이 같은 5·18 관련 각종 비하사건 등도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위원장단은 현재 서울과 부산지역의 기념행사를 각각 전담할 위원장을 찾기 위해 다양한 인사들을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후식 상임위원장은 “5월 정신 전국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타지역 저명인사를 위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위원들 내부에서 활발히 논의됐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5·18 39주년 기념행사는 예산 10억원을 투입, 5월1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 서울, 부산 등 전국에서 정신계승, 문화·예술, 학술·교육, 국제·타지역연대 등 50개 이상의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