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수온 가파른 상승 8년간 2도 이상 올랐다
서·남·동해 7월 수온 年 0.34도↑
태풍 영향 덜 받고 기후변화 영향
“해마다 폭염·양식어류 폐사 늘 것”
태풍 영향 덜 받고 기후변화 영향
“해마다 폭염·양식어류 폐사 늘 것”
![]() |
전남 서·남해안을 포함한 여름바다의 수온이 지난 8년간 2도 이상 오르는 등 매년 수온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유지되면 어획량 감소·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했다.
기상청은 “해양 기상관측 장비인 부이(buoy)로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표층 수온이 2010년부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해양기상 부이는 영광 칠발도, 신안, 여수 거문도 등 전국 17개 지역에 설치돼 있다.
분석 결과 서해·남해·동해 등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부터 올해까지 연 평균 0.34도 상승했다. 2010년 7월 평균 수온은 21.36도였지만 올해는 24.25도로 2.89도나 높아졌다. 0.34도는 수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7년부터 올해까지 7월 평균 수온 상승 규모인 연 평균 0.14도보다 2.4배나 큰 변화다.
서해는 7월 월 평균 기온이 1997년 이후 올해까지 연 평균 0.17도 올랐지만, 2010년부터 올해까지는 연 평균 0.54도 상승해 변화 폭이 가장 컸다. 남해는 2010년부터 매년 0.3도씩 오르고 있다.
영광 등 서해 앞바다 표층 최고 수온은 2010년 7월 25도에서 지난달 26도로 올랐다. 여수 등 남해 근해 최고 수온은 2010년 7월 25도였지만 지난달은 27도였다. 동해는 24도에서 26도로 상승했다.
외국 기관에서도 비슷한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 위성이 2016∼2018년 7월 평균 수온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25도) 영역이 지속해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7월에 바다 표층 수온이 같은 곳을 이은 가상의 선(등수온선)은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나타났지만, 지난해에는 백령도와 속초, 올해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했다.
최근 급격한 수온 상승 이유는 한반도가 최근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의 영향을 적게 받아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깊은 바다 속 찬 바닷물과 섞이지 못한 상황에서 폭염이 장기간 이어지며 바닷물이 달궈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 따뜻한 해류인 ‘구로시오’와 ‘대마 난류’의 세력 강화, 중국 등 주변 국가의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달은 멸치·전갱이·참조기 등이 평년에 비해 적게 잡혔다. 이번달은 전국 앞바다에서 강한 독성을 지닌 해파리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 상승은 결국 지구온난화가 원인이다”며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의한 원인과 영향을 자세히 파악해 전반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유지되면 어획량 감소·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했다.
기상청은 “해양 기상관측 장비인 부이(buoy)로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표층 수온이 2010년부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분석 결과 서해·남해·동해 등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부터 올해까지 연 평균 0.34도 상승했다. 2010년 7월 평균 수온은 21.36도였지만 올해는 24.25도로 2.89도나 높아졌다. 0.34도는 수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7년부터 올해까지 7월 평균 수온 상승 규모인 연 평균 0.14도보다 2.4배나 큰 변화다.
서해는 7월 월 평균 기온이 1997년 이후 올해까지 연 평균 0.17도 올랐지만, 2010년부터 올해까지는 연 평균 0.54도 상승해 변화 폭이 가장 컸다. 남해는 2010년부터 매년 0.3도씩 오르고 있다.
외국 기관에서도 비슷한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 위성이 2016∼2018년 7월 평균 수온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25도) 영역이 지속해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7월에 바다 표층 수온이 같은 곳을 이은 가상의 선(등수온선)은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나타났지만, 지난해에는 백령도와 속초, 올해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했다.
최근 급격한 수온 상승 이유는 한반도가 최근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의 영향을 적게 받아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깊은 바다 속 찬 바닷물과 섞이지 못한 상황에서 폭염이 장기간 이어지며 바닷물이 달궈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 따뜻한 해류인 ‘구로시오’와 ‘대마 난류’의 세력 강화, 중국 등 주변 국가의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달은 멸치·전갱이·참조기 등이 평년에 비해 적게 잡혔다. 이번달은 전국 앞바다에서 강한 독성을 지닌 해파리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 상승은 결국 지구온난화가 원인이다”며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의한 원인과 영향을 자세히 파악해 전반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