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급 폭염 시민들 신음…행정 콘트롤 타워가 없다
광주 온열질환자 68명 발생…신임 구청장 대다수 여름휴가
부구청장들도 지난달 새로 취임 지역 실정 파악하느라 ‘진땀’
폭염대책 문자메시지·가두방송 등 전시행정 수준 못 벗어나
부구청장들도 지난달 새로 취임 지역 실정 파악하느라 ‘진땀’
폭염대책 문자메시지·가두방송 등 전시행정 수준 못 벗어나
광주지역에 40도 안팎을 오르내리는 기록적인 폭염이 20일 넘게 지속되면서 저소득층·노약자를 중심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재난급 폭염에 맞서 고군 분투하는 시민과 달리, 갓 취임한 초선 구청장들의 행정에서 구민의 고통을 함께 공유하고 폭염 피해를 해소하려는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게 지역민의 반응이다.
6·13 선거를 통해 행정의 최일선인 자치구 수장에 오른 광주지역 구청장 대다수가 이낙연 국무총리의 ‘자치단체에서 재난급 폭염에 적극 대처해 주기 바란다’는 요청에도, ‘폭염 대처 콘트롤 타워’역할마저 포기한 채 여름휴가를 떠나거나 계획중에 있기 때문이다.
2일 광주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후 현재(지난달 31일 기준)까지 광주에서는 6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더위로 실신했거나 두통 등 몸에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는 이들도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 피해가 잇따르자 지난달 27일부터 광주시와 5개 구청은 긴급 폭염안전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대책본부 인력은 광주시 25명, 동구 24명, 서구 25명, 남구 27명, 북구 35명, 광산구 22명 등 총 158명.
광주시와 자치구는 방문간호사·독거노인생활관리사·사회복지사·지역자율방재단 등으로 구성된 재난안전도우미(동구 563명·서구 377명·남구 355명·북구 287명·광산구 1017명)가 1만여명에 달하는 폭염 취약계층을 돌보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피부에 와 닿는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 나온다.
폭염 대책 업무라는 것이 현장점검, 문자메시지 발송, 농촌지역 대상 가두방송 등 전시행정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0일 서구 농성동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숨진 60대 근로자의 사망원인이 열사병으로 추정될 정도로 폭염이 절정에 달했지만, 각 구청은 1일 정부의 건설현장 폭염 점검 긴급지시가 떨어지고서야 점검에 나섰다.
시민들의 끝 모를 폭염 고통을 뒤로한 채 여름휴가를 떠나는 구청장까지 생겨나면서 뒷말도 나오고 있다.
불과 2개월 전 만해도 지역민을 위해 모든 걸 바치겠다고 선거운동을 하던 초선 구청장들이 재난급 폭염을 단순 무더위로 생각하고 휴가를 떠난 게 적절하느냐는 것이다.
광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임택 동구청장과 문인 북구청장은 지난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여름 휴가중이다. 김삼호 광산구청장은 6~10일, 서대석 서구청장은 9~15일 휴가를 떠난다. 김병내 남구청장만 여름휴가를 폭염 해소 이후로 미뤘다.
휴가를 떠난 구청장 대신 부구청장이 권한을 대행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게 각 자치구 입장이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광산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 부구청장은 지난달 25일 새로 취임해 지역특색에 맞는 폭염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는데다, 인사권 등이 있는 구청장이 진두지휘하는 것과 구청장을 보좌하는 부구청장이 나설 때의 업무추진력은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목소리가 자치구 내부에서도 나온다.
참여자치21 관계자는 “재난 수준의 폭염이 덮쳤는데 갓 취임한 초선 구청장들은 재난이 아니라 단순한 무더위 정도로 여기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도로에 물만 뿌리지 말고 취약계층 냉방비 긴급지원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몸소 보여줬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
재난급 폭염에 맞서 고군 분투하는 시민과 달리, 갓 취임한 초선 구청장들의 행정에서 구민의 고통을 함께 공유하고 폭염 피해를 해소하려는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게 지역민의 반응이다.
2일 광주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후 현재(지난달 31일 기준)까지 광주에서는 6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더위로 실신했거나 두통 등 몸에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는 이들도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 피해가 잇따르자 지난달 27일부터 광주시와 5개 구청은 긴급 폭염안전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대책본부 인력은 광주시 25명, 동구 24명, 서구 25명, 남구 27명, 북구 35명, 광산구 22명 등 총 158명.
폭염 대책 업무라는 것이 현장점검, 문자메시지 발송, 농촌지역 대상 가두방송 등 전시행정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0일 서구 농성동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숨진 60대 근로자의 사망원인이 열사병으로 추정될 정도로 폭염이 절정에 달했지만, 각 구청은 1일 정부의 건설현장 폭염 점검 긴급지시가 떨어지고서야 점검에 나섰다.
시민들의 끝 모를 폭염 고통을 뒤로한 채 여름휴가를 떠나는 구청장까지 생겨나면서 뒷말도 나오고 있다.
불과 2개월 전 만해도 지역민을 위해 모든 걸 바치겠다고 선거운동을 하던 초선 구청장들이 재난급 폭염을 단순 무더위로 생각하고 휴가를 떠난 게 적절하느냐는 것이다.
광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임택 동구청장과 문인 북구청장은 지난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여름 휴가중이다. 김삼호 광산구청장은 6~10일, 서대석 서구청장은 9~15일 휴가를 떠난다. 김병내 남구청장만 여름휴가를 폭염 해소 이후로 미뤘다.
휴가를 떠난 구청장 대신 부구청장이 권한을 대행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게 각 자치구 입장이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광산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 부구청장은 지난달 25일 새로 취임해 지역특색에 맞는 폭염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는데다, 인사권 등이 있는 구청장이 진두지휘하는 것과 구청장을 보좌하는 부구청장이 나설 때의 업무추진력은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목소리가 자치구 내부에서도 나온다.
참여자치21 관계자는 “재난 수준의 폭염이 덮쳤는데 갓 취임한 초선 구청장들은 재난이 아니라 단순한 무더위 정도로 여기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도로에 물만 뿌리지 말고 취약계층 냉방비 긴급지원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몸소 보여줬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