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단 대표 공석 언제까지
2017년 07월 05일(수) 00:00
요즘 부산문화재단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달 안에 조사와 연구를 담당하는 전담부서 신설 등 조직개편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2009년 설립된 부산문화재단은 2실 8팀 체제에서 2015년 1실 2본부 8팀으로 조직을 개편해 운영중이다.

부산문화재단이 조직개편을 추켜 든 것은 지난해 12월 유종목 신임 대표가 취임하면서부터. 유 대표는 문화재단의 연구조사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청사진을 제시해 지역예술계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문화생태계에 관한 연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지역 현실과 동떨어진 전시성 사업이나 정책이 양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또 다른 과제는 현재 임시조직인 ‘청년문화팀’을 정식직제로 개편하는 작업이다. 부산문화재단은 지난 2015년 ‘부산시 청년문화 활성화계획’ 수립에 따라 전국에선 처음으로 사업수행을 위한 ‘청년문화TF팀’을 발족했다. 지역 청년예술인들의 역외 유출을 막고, 이들이 부산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자는 취지였다.

실제로 부산시는 청년문화육성을 목표로 2015년부터 매년 30억∼40억 원씩 5년간 218억 원을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문화팀이 임시기구인데다 시의 사업을 받아 진행하는 역할에 그치다 보니 청년예술인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하지만 조직개편의 근본적인 배경은 자율·분권·협치를 슬로건으로 내건 문재인 정부의 문화정책과 ‘코드’를 맞추기 위해서다.

예술인 복지, 문화예술교육확대, 생활 속의 문화 등 정부 청사진과 궤를 같이 하기 위해서는 부산시의 문화컨트롤 타워인 문화재단의 전문성과 협치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어디 부산뿐이겠는가. 서울, 인천, 대구, 대전 등 전국 지자체들은 새 정부의 문화정책과 지역 분권에 맞는 협치시스템을 가동하기 위해 시 산하기관인 문화재단의 역량을 키우는데 팔 걷고 나섰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문화수도를 표방한 광주는 너무도 한가(?)하다.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기관인 광주문화재단 수장을 6개월째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문화정책 패러다임이 바뀌는 ‘막중한 시기’에 협치의 파트너 역할을 해야 할 재단의 수장이 공석중인 것이다.

문제는 문화재단 대표의 공백이 쉽게 해결될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2차례의 공모가 무산된 이후 임원추천위원회(추천위)를 구성했지만 지난달 임원추천위원 전원이 일괄사임하면서 지금까지 추천위 조차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대표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광주시 문화정책실장 역시 최근 부하 직원의 산하기관 갑질 논란 등 내부문제가 불거져 조직 추스리기에도 벅찬 상태다. 이렇다 보니 일각에선 내년 지방선거때까지 대행체제로 가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문재인 정부 시대, 협치와 분권은 문화계의 화두가 됐다. 시 문화행정의 협치 창구인 광주문화재단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 첫단추는 문화재단을 이끌어갈, 역량있는 대표선임일 것이다.

〈제작국장·문화선임기자〉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499180400608167053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06: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