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연구소 설립 정치적 이용 안돼
2013년 12월 10일(화) 00:00
광양시가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양연구소 설립을 추진한 과정에서 일부 시의원이 내년 선거를 의식해 소수 여론에 밀려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다. 지역 미래와 연관된 광양연구소 설립을 내년 지방선거와 연계하는 무책임한 행위라는 목소리도 있다.

GIST 연구소는 에너지·환경·신소재 등 글로벌 전문공학석사를 양성해 지역 내 산업과 공동 R&D 체제를 구축하고 지식과 산업을 결합하는 새로운 모델로 지역민들의 기대가 높다.

이 같은 기대를 갖고 시는 지난해 10월 미래과학창조부 예산으로 GIST 광양연구소 설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마치고 본격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후 시장과 시의원 9명은 지난 10월말 GIST를 방문해 연구소 유치 배경 설명을 듣고 광주과기원 연구시설을 견학한 뒤 호의적 반응을 보이며 설립에 가속도가 붙는 듯 했다.

하지만 11월 초 광양시의회 총무위 심의의결 과정에서 일부 의원이 연구소가 들어설 커뮤니티 센터가 시민 이용시설인 만큼 시민 동의를 얻어야 한다며, 안건을 보류시켰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커뮤니티센터 내 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부 시민이 연구소 유치를 반대하자 커뮤니티센터 소재지 주변 일부 의원이 반대입장으로 돌아선 것이 그 원인이다.

이에 따라 2014년 개교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 사실 이 커뮤니티센터는 이용자가 매년 급감하면서 운영관리비 부담이 쌓여 시가 대책을 고민중이었다.

해당 시의원이 광양 발전이 아니라 지역구 일부 주민에게 휘둘렸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GIST 광양연구소는 350억원을 투자하는 광양시의 숙원사업으로 동서통합지대 지식 풀 강화와 산업 재활성화를 통해 시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상승 효과가 기대된다.

GIST는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정부출연 연구중심 대학으로 서울대, 카이스트 등 이공계 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전세계 대학평가에서 잇따라 상위권으로 평가되며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시의원들이 주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어야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광양 전반의 이익보다는 지역, 그것도 일부 주민의 편에 서서 지역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은 받지 않았으면 한다.

/박영진 광양주재기자 pyj4079@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386601200512795083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20: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