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 전문체육 육성 나서라
송 기 동
체육부장
체육부장
#사이클 윤진규(광주체고 3년)는 지난 10월 인천에서 열린 전국체전 남고부 경륜에서 10년 만에 광주에 금메달을 선사했다. 하지만 광주에 사이클 실업팀이 없어 결국 타지역 직장 팀으로 진로를 모색해야 했다.
인천 전국체전 69㎏ 급 용상에서 171㎏을 들어올리며 대회신기록을 세웠던 역도 이인우(완도수산고 3년) 역시 완도수산고의 마이스터교 전환에 따라 팀이 해체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인우는 졸업 이후 완도군청 취업선수로 운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초·중등부터 선수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학교체육도 황폐화돼 있다. 체육에 기부하던 기업들도 경제난에 하나 둘 떠나고 있다. 유망주들이 올라올 수 있게끔 실업팀(직장팀)이 있어야 하는데 이마저 타지역보다 적다.”
지방체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 체육인들은 한국체육의 근간(根幹)이라 할 수 있는 지역 전문체육이 고사(枯死) 위기에 직면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급기야 광주·전남을 비롯해 전국 17개 시·도체육회 사무처장들은 최근 긴급모임을 갖고, 대한체육회에 ‘스포츠 선진화 정책과제와 제도 개선’(안)을 전달했다.
여기에는 백년대계(百年大計)의 한국스포츠 선진화와 균형있는 지방체육의 발전을 위해 절실한 지방 전문체육 육성경비 국가 지원, 전국체전 운영 개선, 대학체육 활성화 대책 강구, 공기업의 실업팀 운영 의무화, 국가대표 선수와 지도자 대표팀 차출 개선 등 16개 요구사항을 담았다.
이 가운데 협의회는 지방 전문체육 육성경비 국가 지원과 국가대표 선수 및 지도자 대표팀 차출 문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체육 일선현장에서는 수십억 원의 막대한 비용을 들여 기대주를 발굴하고, 집중 육성하면 중앙에서는 굵직한 국제대회를 앞두고 선수를 차출해 간 후 대회 결과에 생색만 낸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더욱이 감독·코치와 선수들이 차출됐을 경우 일년 마무리 농사라 할 수 있는 전국체전에 출전할 수 없거나 주전들이 빠진 채 참가해 경기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초-중-고-대-실업팀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이상적이지만, 지역에 해당 실업팀이 없으면 타지역 유출을 막을 수가 없다.
광주·전남 실업팀은 타지역보다 열세다. 광주는 각 구청 등 9개 기관에 12개 종목 실업팀이 있고, 전남은 22개 시·군에 25개 팀이 있다. 반면 대전의 경우 24개 기관, 35개 종목에 달한다.
이러한 차이는 올해 인천 전국체전에서도 성적으로 표출됐다. 지난해 15위를 차지했던 대전시는 실업팀을 창단하고, 우수선수를 영입하며, 전력을 키워 올해 12위로 껑충 올라서는 이변을 연출했다.
대한체육회가 각 시·도 체육회에 연간 내려주는 비용은 ‘행정보조비’ 명목의 비용 360만 원과 ‘훈련지원비’ 760만 원, ‘소년체전 출전비’ 1억7100여만 원에 불과하다. 이는 대한체육회 전체 예산의 2.6% 정도이다. 시·도체육회 운영비와 지방 전문체육 육성비, 또는 국가대표를 양성하는 실업팀에 대한 정부나 대한체육회의 지원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각 시·도체육회가 정관상 대한체육회의 지부로 규정돼 있어 권위주의적인 갑·을관계에 놓여 있고, 지방체육 전문가가 대한체육회의 의사결정기구(이사회, 대의원총회)에 참여를 못하고 있는 현실도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
민선 지방자치가 본격 시행된 지 20여년이 흘렀다. 지자체 시대에 맞춰 지방 체육정책 역시 각 지자체와 시·도체육회 중심으로 꾸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복지재정에 힘겨운 지자체는 체육예산을 줄이고, 체육에 기부하던 기업들도 경제위기에 흔들리며 손을 떼고 있다. 취업률에 온 신경을 쏟는 대학도 경영 악화로 운동부를 해체하며, 대학체육도 쇠퇴하고 있다. 모두들 경제논리로만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운 운동여건 속에서도 많은 지역선수들은 오늘도 올림픽 등 국제무대를 꿈꾸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경비를 들여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육성하는 등 지방체육 활성화에 적극 발벗고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지방 전문체육이 살고, 우리나라 스포츠의 백년대계 역시 탄탄해 질 것이라 믿는다.
/song@kwangju.co.kr
인천 전국체전 69㎏ 급 용상에서 171㎏을 들어올리며 대회신기록을 세웠던 역도 이인우(완도수산고 3년) 역시 완도수산고의 마이스터교 전환에 따라 팀이 해체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인우는 졸업 이후 완도군청 취업선수로 운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방체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 체육인들은 한국체육의 근간(根幹)이라 할 수 있는 지역 전문체육이 고사(枯死) 위기에 직면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급기야 광주·전남을 비롯해 전국 17개 시·도체육회 사무처장들은 최근 긴급모임을 갖고, 대한체육회에 ‘스포츠 선진화 정책과제와 제도 개선’(안)을 전달했다.
이 가운데 협의회는 지방 전문체육 육성경비 국가 지원과 국가대표 선수 및 지도자 대표팀 차출 문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체육 일선현장에서는 수십억 원의 막대한 비용을 들여 기대주를 발굴하고, 집중 육성하면 중앙에서는 굵직한 국제대회를 앞두고 선수를 차출해 간 후 대회 결과에 생색만 낸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더욱이 감독·코치와 선수들이 차출됐을 경우 일년 마무리 농사라 할 수 있는 전국체전에 출전할 수 없거나 주전들이 빠진 채 참가해 경기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초-중-고-대-실업팀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이상적이지만, 지역에 해당 실업팀이 없으면 타지역 유출을 막을 수가 없다.
광주·전남 실업팀은 타지역보다 열세다. 광주는 각 구청 등 9개 기관에 12개 종목 실업팀이 있고, 전남은 22개 시·군에 25개 팀이 있다. 반면 대전의 경우 24개 기관, 35개 종목에 달한다.
이러한 차이는 올해 인천 전국체전에서도 성적으로 표출됐다. 지난해 15위를 차지했던 대전시는 실업팀을 창단하고, 우수선수를 영입하며, 전력을 키워 올해 12위로 껑충 올라서는 이변을 연출했다.
대한체육회가 각 시·도 체육회에 연간 내려주는 비용은 ‘행정보조비’ 명목의 비용 360만 원과 ‘훈련지원비’ 760만 원, ‘소년체전 출전비’ 1억7100여만 원에 불과하다. 이는 대한체육회 전체 예산의 2.6% 정도이다. 시·도체육회 운영비와 지방 전문체육 육성비, 또는 국가대표를 양성하는 실업팀에 대한 정부나 대한체육회의 지원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각 시·도체육회가 정관상 대한체육회의 지부로 규정돼 있어 권위주의적인 갑·을관계에 놓여 있고, 지방체육 전문가가 대한체육회의 의사결정기구(이사회, 대의원총회)에 참여를 못하고 있는 현실도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
민선 지방자치가 본격 시행된 지 20여년이 흘렀다. 지자체 시대에 맞춰 지방 체육정책 역시 각 지자체와 시·도체육회 중심으로 꾸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복지재정에 힘겨운 지자체는 체육예산을 줄이고, 체육에 기부하던 기업들도 경제위기에 흔들리며 손을 떼고 있다. 취업률에 온 신경을 쏟는 대학도 경영 악화로 운동부를 해체하며, 대학체육도 쇠퇴하고 있다. 모두들 경제논리로만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운 운동여건 속에서도 많은 지역선수들은 오늘도 올림픽 등 국제무대를 꿈꾸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경비를 들여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육성하는 등 지방체육 활성화에 적극 발벗고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지방 전문체육이 살고, 우리나라 스포츠의 백년대계 역시 탄탄해 질 것이라 믿는다.
/so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