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다양성과 통합의 모델 ‘무지개 학교’
2010년 12월 22일(수) 00:00
무지개는 꿈과 희망의 아이콘이다. 무지개는 각각 서로 다른 색깔이 조화를 이뤄 아우라를 만들어 낸다. 이는 개별적 다양성과 전체의 조화를 존중하는 교육의 본질과도 맥이 닿는다. 전남도교육청이 지정·운영하는 ‘무지개 학교’는 ‘개별적 다양성과 전체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을 실현해 나가는 미래지향적 혁신학교’다.

무지개학교의 운영 목표는 학교의 자율화, 다양화, 특성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학교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교육 공동체들의 자발적인 참여, 학교 여건에 적합한 창의적인 교육활동, 교육 공동체 간의 협력적 관계가 필수요소다.

전남도교육청은(교육감 장만채) 무지개학교를 축으로 교육혁신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4개의 주춧돌(액션 플랜)을 마련했다.

첫째는 다양화·특성화된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을 바탕으로 학교교육의 내용을 혁신하는 것이다. 지역·학교·학생 등 삼각축의 특성을 고려해 다양하고 탄력적인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뼈대다.

두 번째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열린 교육방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입시 위주, 지식교육 위주의 고질적인 교실 풍경을 토론이 있는 교실, 질문이 있는 교실, 문제해결의 기쁨을 만끽하는 살아 숨 쉬는 교실, 자기 주도적 성취가 보이는 성장이 있는 교실로 바꾸어 내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 기회를 보장함은 물론, 교재 특성에 적합한 학생 중심의 다양한 수업방법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과제가 있다. 무지개학교에서는 특히 문제로 시작하는 문제기반학습을 적극적 능동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교육 방법 혁신의 단초를 마련하는 데 교육 중점을 두고 있다.

세 번째는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지원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적, 물적 자원 관리 활용 측면에서의 혁신이다.

인적자원 관리 활용에 있어서는 교장 공모제 실시, 교사 초빙제 실시, 필요한 경우 교사 전보 유예 조치 등의 교원 인사 관련 지원과 무지개학교 연구 동아리 운영 지원, 무지개학교 교원연찬 실시, 무지개학교 연구 컨설팅 팀 조직 운영 등 교육연구 및 실천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강구될 것이다.

네 번째는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파트너십 구현이다. 교육공동체 간 관계를 혁신적으로 정립하는 게 골자다. 이를 위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주민들이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교육에 대한 교육공동체들의 책무성과 긍정적 발전적 방향으로의 인식 전환이 요구됨은 물론,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협력적 상호 관계를 통하여 학교 교육력을 제고시켜 나가게 될 것이다.

무지개학교는 학교교육과정을 통하여 단위 학교의 특색, 스타일, 문화를 창출해 나감으로써, 전남 교육의 지속적인 질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전남교육청의 브랜드가 될 것이다. 무지개학교로 우리는 전남교육의 미래를 향한 희망적 꿈을 갖게 된 것이다.

무지개 학교는 학생, 교원, 학부모, 지역민이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즉 전남 도민의 몫이기도 하다. 이 학교는 전남 도민의 관심과 격려, 협력적 지원, 배려가 있는 응원을 먹어야 자라는 나무이기 때문이다.

/이정희 전남도 교육청 교육진흥과장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292943600417649160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1일 17:3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