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동복댐 상생지원 1000억여원…‘일방 부담’ 논란 반박
광주시의회 감사서 “법·원칙 협력” 강조…115억 매입 (구)북광주우체국 4년 방치도 질타
![]() |
광주시 상수도 현안이 행정사무감사에서 동시에 도마에 올랐다.
동복댐 상생지원의 실적을 둘러싼 논란에 반박이 제기된 가운데, 조직 통합을 위해 매입한 (구)북광주우체국을 4년째 놀리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미정(동구 2선거구) 시의원은 10일 광주상수도사업본부 행정감사에서 “광주가 법과 원칙에 따라 화순군과 협력해 왔고 누적 978억 원을 지원했다”며 일방적 부담론을 일축했다.
시 자료에 따르면 동복댐 주변지역 정비(연 21억원, 2024~2033년), 주민지원사업(누적 180억 원), 공공하수도 정비(29억 원), 무료 원수공급(연 3억 원 상당)에 더해 영산강유역환경청의 주민지원기금(누적 720억 원)까지 합산하면 약 978억 원에 이른다.
그는 동복댐이 ‘댐건설관리법’·‘수도법’상 광주시 관리 대상임을 강조하며 “무분별한 관광개발이나 관리권 이양은 140만 시민의 식수 안전을 해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2022년 체결한 ‘동복댐 수질개선 및 상생발전 협약’에 따라 실무협의회를 정례 운영 중인 만큼, 법·수질 기준 내 주민편의시설 논의는 가능하다고도 밝혔다.
같은 자리에서 박 의원은 조직 통합을 명분으로 2020년 115억 원에 매입한 (구)북광주우체국을 예산 없이 방치했다며 “청사 이원화로 부서 협업이 무너지고 시민 불편만 커졌다”고 질타했다.
상수도본부는 덕남·용연 정수장과 서구 KDB빌딩 등으로 흩어져 있으며, 매입 건물은 리모델링·내진보강 비용 문제로 활용이 지연됐다는 것이다.
매입 당시 10년 이상 공공청사 사용 조건을 단 수의계약 탓에 매각 전환도 어렵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시는 임차료 절감을 위해 1~2층 부분 입주를 검토 중이나, 박 의원은 “통합청사는 수돗물 복지와 직결된 운영 효율의 문제”라며 즉시 활용계획 확정과 공유재산 전반의 관리·재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동복댐 상생지원의 실적을 둘러싼 논란에 반박이 제기된 가운데, 조직 통합을 위해 매입한 (구)북광주우체국을 4년째 놀리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미정(동구 2선거구) 시의원은 10일 광주상수도사업본부 행정감사에서 “광주가 법과 원칙에 따라 화순군과 협력해 왔고 누적 978억 원을 지원했다”며 일방적 부담론을 일축했다.
그는 동복댐이 ‘댐건설관리법’·‘수도법’상 광주시 관리 대상임을 강조하며 “무분별한 관광개발이나 관리권 이양은 140만 시민의 식수 안전을 해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같은 자리에서 박 의원은 조직 통합을 명분으로 2020년 115억 원에 매입한 (구)북광주우체국을 예산 없이 방치했다며 “청사 이원화로 부서 협업이 무너지고 시민 불편만 커졌다”고 질타했다.
상수도본부는 덕남·용연 정수장과 서구 KDB빌딩 등으로 흩어져 있으며, 매입 건물은 리모델링·내진보강 비용 문제로 활용이 지연됐다는 것이다.
매입 당시 10년 이상 공공청사 사용 조건을 단 수의계약 탓에 매각 전환도 어렵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시는 임차료 절감을 위해 1~2층 부분 입주를 검토 중이나, 박 의원은 “통합청사는 수돗물 복지와 직결된 운영 효율의 문제”라며 즉시 활용계획 확정과 공유재산 전반의 관리·재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