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중심 AI·지역균형발전으로 R&D 혁신하겠다”
  전체메뉴
“사람 중심 AI·지역균형발전으로 R&D 혁신하겠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전남대 ‘R&D 혁신을 위한 연구현장 간담회’ 참석
“지금은 지역 기술력과 인재 역량 모아 미래 성장 동력 만드는 시기
전남대 같은 거점 국립대가 지역산업 허브 돼야 국가경쟁력 높아져”
2025년 10월 27일(월) 19:55
27일 전남대 대학본부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연구현장 간담회에서 박인규(왼쪽부터) 과기부 혁신본부장, 하정우AI수석, 김용범 정책실장, 이근배 전남대총장, 이윤성 전남대 연구처장이 참석해 논의하고 있다. <전남대 제공>
정부 R&D 혁신정책이 ‘사람 중심 AI’, ‘연구자 주도 제도개편’, ‘지역균형발전 보강’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27일 전남대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연구현장 간담회’에 앞서 이근배 전남대 총장과 차담을 갖고 R&D거버넌스의 방향을 이같이 설명했다.

하 수석은 “지금은 단순 예산 배분이 아니라 지역의 기술력과 인재 역량을 하나로 모아 미래 성장의 동력을 만드는 시기”라며 ‘지역 R&D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의 장비·인프라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만큼 편중을 경계하고, 지역별 강점 산업과 인재 양성이 선순환하도록 균형을 세밀하게 설계하겠다”면서 “전남대 같은 거점 국립대가 지역산업의 허브로 자리 잡는 것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덧붙였다.

하 수석은 “호남의 대학이 지역발전 전략의 중심축으로 가야 한다. 정부도 R&D 지원 과정에서 지방대의 참여 비율과 산업 연계를 더욱 강화하겠다”면서 “광주는 이미 AI산단과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갖춘 도시지만, 그 기반 위에 다양한 인문학적 요소를 접목해야 진정한 융합의 도시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핵심 키워드는 ‘사람 중심 AI’다.

하 수석은 “AI와 함께 살아가는 시대일수록 인간과 사회에 대한 가치를 연구개발의 바탕에 두어야 한다”며 “엔지니어와 과학자들도 인문학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기본 전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개발의 목적을 진리탐구에만 한정하지 않고 “인류와 지역사회의 안전과 발전에 실질로 기여하는 연구”로 확장해야 한다고 정의했다.

하 수석은 최근 이 대통령의 R&D 정책 변화에 대해 “최근 국민이 정부 개혁에 크게 호응한 이유는 ‘상식적으로 안 되는 일을 되게 한 것’에 있다”며 “R&D 정책도 같은 맥락으로, 불합리하고 비효율적인 구조를 바로잡고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체계로 바꾸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학기술 혁신은 단순히 연구비 문제를 넘어, 연구자 스스로 혁신을 설계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면서 “어려워도 밀어붙여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부가 ‘정책 의지-현장 의견-제도화’의 3단 고리를 굳히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지역대학과의 연계는 인재 유출 방지가 관건으로 지목됐다.

이근배 전남대 총장은 “인재 80%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 AI인재 양성의 의미가 퇴색한다”며 “인문학 기반을 갖춘 AI 융합인재 양성과 지역 정착을 위한 산업 연계 특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하 수석은 이에 대해 “대학이 보유한 인문·사회 자산을 AI 교육과 연구에 내재화하는 시도가 중요하다”며 “정부도 과제 심사와 평가 기준에서 윤리·책임·사회영향 요소를 더 치밀하게 녹여가겠다”고 화답했다.

지역대학이 주도하는 인재양성과 관련해서는 “전남대가 추진 중인 인간 중심 AI 융합 인재 양성 모델이야말로 시대가 요구하는 방향”이라며 높은 평가를 했다.

하 수석은 “AI 시대일수록 기술이 아닌 사람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AI와 인문학이 결합된 융합교육은 인류 사회 전체의 안전과 발전을 이끌 핵심 가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도 엔지니어 출신이라며 “과학자도 결국 사람을 위한 연구를 하는 존재”라며 “AI가 발전하더라도 인간의 존엄과 가치, 인문학적 통찰이 함께하지 않으면 기술은 쉽게 방향을 잃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AI전문가들은 광주지역에 후속 과제가 산제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역대학의 융합 트랙을 실제 산업 수요와 연결하는 계약학과, 프로젝트 바우처, 현장기반 캡스톤 등 ‘수요 연동형’ 프로그램을 확대해 정착률을 끌어올려야 한는 것이다.

또 컴퓨팅·전력·네트워크 등 핵심 인프라를 광주에 집적해 수도권 편중을 완화하는 규칙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하 수석이 ‘권역 보강’을 거론한 만큼, 광주권은 기존 AI 실증 생태계에 ‘사람 중심’ 기준과 정착 인센티브를 결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날 간담회는 다음달 정부가 발표하는 R&D혁신생태계 방향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어 비공개로 진행됐다. 전남대 측은 ‘인간 중심 AI 융합 인재 교육연구 혁신대학’ 구상과 지역 특성에 기반한 산업연계형 인재 양성 로드맵을 제시했다.

하 수석은 “지금까지 정부 정책이 수도권에 집중됐다면, 앞으로는 지역별 산업 구조와 대학 역량이 맞물려야 한다”며 “균형 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