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통팔달 전국 유랑하는 보부상들의 ‘입담’ 한 판
예락 재담 음악극 ‘팔도 유람기’ 28일 광산문화예술회관
![]() 예락 재담음악극 ‘팔도 유람기’ 공연 장면. <예락 제공> |
전국을 떠도는 두 보부상이 광주에서 우연히 만나 전국 팔도를 유랑하며 수집한 이야기를 노래로 풀어 나간다. 각 지역의 숨결이 깃든 민요를 한자리에서 만나는 ‘옛 노래극’이 펼쳐진다.
예락(대표 김보람)이 재담 음악극 ‘팔도 유람기’를 오는 28일 오후 7시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선보인다. 해금, 가야금 등 전통악기와 플루트, 건반과 같은 서양악기, 무용 등 가무악적 극적 요소가 어우러진 총체극이다.
공연은 팔도를 누비는 두 보부상(함승우·정성현 분)이 광주에 당도하는 ‘우리는 보부상!’ 대목으로 막을 연다. 설장구 협주곡 ‘소나기’와 ‘흥타령’이 울려 퍼질 예정이다. 두 사람이 진귀한 물건이 넘쳐난다는 한양의 남대문 시장으로 향하는 ‘늴리리야’ 대목은 경기민요 ‘태평한 노래’로 채워진다.
기이한 물건을 얻은 보부상들은 물건을 팔 지역을 물색하다 국경을 넘어 평안도 시장이 있는 이북으로 향한다. 바오 무용단(대표 박태영)이 출연해 창작무 ‘부채, 그리다’, 서도민요 ‘풍구소리’로 전통의 신명을 선사한다.
‘제주민요 연곡’도 들을 수 있다. 길을 잘못 든 보부상들이 국토 최남단 탐라국에 도착해 제주도 사투리, 노래를 소개하는 장면이다. 이후 동쪽의 태백산맥 고개를 넘어 강원도로 향하는 장면에서는 동부민요&춤 ‘메나리’가 울려 퍼진다.
끝으로 두 보부상이 저마다의 길을 향하며 예술로 회포를 푸는 ‘팔도 아리랑’, ‘진도북춤’으로 막을 내린다. 소리는 박은비, 이이화가 맡으며 대금(정성훈), 해금(김비주), 타악(김민철·고창길), 가야금(조한) 등이 출연할 예정이다.
예락 김보람 대표는 “전국 팔도의 민요, 무용 등을 한꺼번에 즐기는 공연이다”며 “선조들의 익살과 재치가 깃들어 있는 ‘재담’을 듣고 즐기며 공연장에서 무더위를 날려버리시길 바란다”고 했다.
무료 관람.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예락(대표 김보람)이 재담 음악극 ‘팔도 유람기’를 오는 28일 오후 7시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선보인다. 해금, 가야금 등 전통악기와 플루트, 건반과 같은 서양악기, 무용 등 가무악적 극적 요소가 어우러진 총체극이다.
기이한 물건을 얻은 보부상들은 물건을 팔 지역을 물색하다 국경을 넘어 평안도 시장이 있는 이북으로 향한다. 바오 무용단(대표 박태영)이 출연해 창작무 ‘부채, 그리다’, 서도민요 ‘풍구소리’로 전통의 신명을 선사한다.
끝으로 두 보부상이 저마다의 길을 향하며 예술로 회포를 푸는 ‘팔도 아리랑’, ‘진도북춤’으로 막을 내린다. 소리는 박은비, 이이화가 맡으며 대금(정성훈), 해금(김비주), 타악(김민철·고창길), 가야금(조한) 등이 출연할 예정이다.
예락 김보람 대표는 “전국 팔도의 민요, 무용 등을 한꺼번에 즐기는 공연이다”며 “선조들의 익살과 재치가 깃들어 있는 ‘재담’을 듣고 즐기며 공연장에서 무더위를 날려버리시길 바란다”고 했다.
무료 관람.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