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후보 경선 지연에 전남 ‘깜깜이 선거’
4·10 총선을 불과 45일 앞두고 있지만 전남지역 선거판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 선거구가 확정되지 않은데다 텃밭인 민주당의 경선 후보 결정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이래 저래 유권자들은 깜깜이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현재 국회에 제출된 이번 총선의 전남지역 선거구는 의석수 10개는 변함이 없지만 동부권이 4석에서 5석으로 늘고, 중서부권은 6석에서 5석으로 줄어든 안이다. 영암·무안·신안이 해체돼 인근 지역구로 묶이고 순천이 분리돼 갑과 을로 나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데드라인으로 제시한 지난 21일을 넘겨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오는 29일 합의안 도출이 이뤄질지 관심이다.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고 다음달 6일을 넘길 경우 2004년 17대 총선에서 기록한 D-38일 기록을 깨게 된다. 4년전 21대 총선에서도 D-39일에 가까스로 확정돼 깜깜이 선거를 치른 경험이 있다. 여기에 전남 입장에선 텃밭인 민주당 경선 후보들 윤곽이 늦어지면서 후보자간 비방과 갈등이 노출되고 있다. 어제 민주당의 7차 공천 심사 결과 발표에 따라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만 단수 추천으로 확정됐을뿐 나머지 9곳에선 28일 이후 후보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 정치 초년생인 예비후보는 선거 운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이번처럼 선거구 개편이 예고된 지역구에선 후보나 유권자 모두 혼란이 커질 수밖에 없다. 총선때마다 반복되는 지각 선거구 획정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총선 전 6개월 안에 조기 확정하도록 강제조항을 둘 필요가 있다. 정당들도 가능하면 후보를 빨리 확정해야 한다. 특히 민주당처럼 텃밭인 특정 지역의 경선이 곧 본선이나 마찬가지인 경우 후보를 가능하면 조기에 확정해 유권자에게 충분히 검증할 시간을 줘야 할것이다.
현재 국회에 제출된 이번 총선의 전남지역 선거구는 의석수 10개는 변함이 없지만 동부권이 4석에서 5석으로 늘고, 중서부권은 6석에서 5석으로 줄어든 안이다. 영암·무안·신안이 해체돼 인근 지역구로 묶이고 순천이 분리돼 갑과 을로 나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데드라인으로 제시한 지난 21일을 넘겨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오는 29일 합의안 도출이 이뤄질지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