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복원과 현 민주평화교류원 철거-박홍근 건축사·포유건축 대표
  전체메뉴
옛 전남도청 복원과 현 민주평화교류원 철거-박홍근 건축사·포유건축 대표
2022년 06월 22일(수) 01:00
우리네 민족은 숫자 ‘3’을 좋아한다. 3을 완전한 숫자로 봤기에, 1이나 2보다 더 중요시했다. 음과 양이 결합한 수가 바로 3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3정승(좌의정·우의정·영의정), 재판의 3심제, 장례의 삼일장, 만세 삼창, 삼진 아웃, 삼위일체, 삼각관계, 삼재, 작심삼일, 삼세판 등등.

삼세판으로 옛 전남도청 복원 관련 글을 쓴다. 먼저 쓴 ‘아시아문화전당과 나는 답답하다’(2017년 8월 9일)와 ‘옛 전남도청 복원과 아시아문화전당, 그리고 광주’(2018년 10월 3일)라는 제목의 글은 문화전당의 기획부터 옛 전남도청 복원 논란, 복원 결정 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이었다.

아시아문화전당 개관(2015년 11월)이 7년 차에 접어들었다. 주요 시설은 다섯 개다. 민주평화교류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이다. 그중 민주평화교류원은 옛 전남도청과 그 주변 건물의 구조 보강, 리모델링 과정을 거처 콘텐츠를 채웠다. 중정에는 방문자센터, 문화광장 쪽에는 미디어월이 설치되어 있다. 수백억 원이 투입된 콘텐츠와 방문자센터, 미디어월 등을 철거하고, 1980년 5월의 모습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이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이다. 옛 전남도청 본관을 제외하고는 철골을 이용한 구조 보강 때문에 원형 복원은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복원을 한단다. 복원이 아니라 비슷한 복제품을 만든다. 역사적 가치와 의미에 대한 필자의 생각은 앞에 쓴 칼럼에 언급했다.

이번에 다시 쓰는 이유는 지난달에 접한 뉴스 때문이다. 2018년 255억 원을 투입해 복원 준비를 시작한 이후 4년의 세월이 지난 2022년, 현 시점에서 263억 원을 추가하여 총 518억 원을 확정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꼭 해야 할 역사 바로 세우기라면 그 이상도 요구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다른 생각도 많다. 아무리 역사적인 것은 ‘가격’으로 판단할 수 없고 ‘가치’로 판단해야 한다지만 1980년 5월로, 억지로, 영혼 없는 공간을 복제품으로 되돌리는 것만이 5월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힘들다.

비용을 생각해 본다. 7년째 문을 닫고 있는 민주평화교류원에 투입된 수백억 원, 핵심 기능 중 하나가 빠짐으로 생긴 아시아문화전당의 불완전한 기능과 오랫동안 운영조차 못 하는 시설과 콘텐츠의 매몰 비용은 어떻게 할 것인가? 앞으로 투입될 518억 원과 오랜 기간 폐쇄된 공간이 제공할 수 있는 기회비용은 무엇으로 되돌려 줄 것인가?

옛 전남도청은 2003년부터 2015까지 매순간 지역 사회 책임자들의 판단으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이 또한 역사다. 역사는 오늘이 하루 지나면 역사가 되듯이 계속 진행형이다. 민주평화교류원과 방문자센터, 미디어월 또한 아시아문화전당과 함께 ‘광주’의 누군가가 썼고 앞으로도 계속 써야 할 역사의 일부다.

이미 복원(?)을 향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시 생각해 본다. 꼭 옛 전남도청 본관과 그 주변 모든 건물도 80년 5월로 복원해야 하는가? 사라지는 민주평화교류원 기능을 대체할 대안은 세우고 있는가? 광주는 새로운 역사를 쓰는가? 과거로 가는가? 이견이 많은 과거로 되돌아가는 것도 역사 바로 세우기인가? 옛 전남도청이 가진 현재의 민주평화교류원 기능도 광주의 역사가 아닌가?

아쉬운 것이 있으면 그것에서 교훈을 얻고 새로운 역사를 보완해 쓰는 것은 당연하다. 옛 전남도청을 활용한 민주평화교류원 조성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과 그 당시 선택의 문제였지 역사 왜곡은 아니다. 역사의 교훈은 복제된 공간과 특정인의 아픔과 기억으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제삼자가 사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감, 그 사실이 주는 기억과 울림이 개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칠 때 산 교훈이 된다.

일부 사람의 옛 전남도청이 아닌 광주 모두의 옛 전남도청과 민주평화교류원이 되어야 한다. 역사는 과거로 되돌아가는 과거형이 아니다. 현재진행형이다. 지금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이 역사가 된다. 광주가 미래지향적인 현재형의 역사를 쓰면 좋겠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