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 경제발전 호남권만 왜 불협화음인가
광주·전남·전북이 추진하는 초광역 경제발전 프로젝트가 한목소리를 내도 부족할 판에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정부가 지방인구 감소, 지역경제 낙후 등을 개선하기 위해 메가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지만 호남권만 독자노선을 고집하며 시너지 효과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에 따르면 오는 14일 열리는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는 메가시티를 추진하는 지역의 초광역 경제발전 프로젝트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부산·울산·경남은 ‘부울경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발표하고, 충청도는 ‘충청권 메가시티’,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의 청사진을 발표한다.
반면 신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하는 ‘RE300’ 등이 제안됐던 광주·전남·전북은 호남을 아우르는 초광역 경제발전 프로젝트를 내놓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이 광주·전남과의 연대 대신 강원도와 함께 특별자치단체 형태의 프로젝트를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광주와 전남도 역시 각기 다른 방향으로 계획을 짜고 있다.
이에 비해 경남 지역은 지난 7월 발표한 제4차국가철도망 계획에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창원~김해~양산~울산을 잇는 부울경 순환철도를 반영했다. 내년 정부 예산안에도 해양쓰레기 처리와 수소선박 개발 실증 사업 등 부울경 초광역협력 신규 사업에 76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정부의 메가시티 프로젝트는 나주 혁신도시에 이은 ‘지역발전시즌 2’로, 수도권 집중화에 맞설 지방 발전을 위한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전남의 풍부한 자연을 바탕으로 한 신재생 에너지를 광주와 전북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경우 새로운 산업 구도를 펼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따라서 호남권의 초광역 경제발전프로젝트가 실현되기 위해선 3개 시도가 상생 정신을 발휘해 하루빨리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과 비전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정부에 따르면 오는 14일 열리는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는 메가시티를 추진하는 지역의 초광역 경제발전 프로젝트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부산·울산·경남은 ‘부울경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발표하고, 충청도는 ‘충청권 메가시티’,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의 청사진을 발표한다.
정부의 메가시티 프로젝트는 나주 혁신도시에 이은 ‘지역발전시즌 2’로, 수도권 집중화에 맞설 지방 발전을 위한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전남의 풍부한 자연을 바탕으로 한 신재생 에너지를 광주와 전북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경우 새로운 산업 구도를 펼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따라서 호남권의 초광역 경제발전프로젝트가 실현되기 위해선 3개 시도가 상생 정신을 발휘해 하루빨리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과 비전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