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홀로사는 어르신 ‘돌봄서비스’ 강화
![]() 전남도가 65세 이상 홀로사는 어르신 등 9800세대를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전남도청 제공> |
전남도가 65세 이상 홀로사는 어르신 등 9800세대를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확대 보급한다.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전남도가 미래첨단과학기술을 접목시켜 노인들이 편의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코로나19로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노인여가복지시설이 휴관 조치됨에 따라 마을공동체 활동이 축소되면서 취약 어르신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사업은 홀로사는 어르신 가정에 출입·움직임·화재 감지기와 응급호출기 등을 설치해 어르신 일상생활을 관리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한 사업이다.
전남도는 기존에 설치된 장비 1만3518대 중 노후화된 장비 8180대를 교체하고 신규 대상자를 위한 9874대를 추가 보급해 연말까지 홀로사는 어르신 등 2만3000세대를 대상으로 돌봄을 강화할 방침이다.
각 가정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시·군 응급관리 지역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뤄진다. 특히 일정시간 움직임이 미감지 되거나 화재 감지, 응급 호출 시 응급관리요원이 즉시 현장을 확인하고 119와 연계해 신속히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동안 전남도는 4만8000여명의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에게 맞춤돌봄서비스를 통해 안부확인과 일상생활 지원, 연계서비스 등을 제공했다.
특히 홀로사는 노인 등에게 ICT(응급안전안심서비스, 1만3000세대) 및 IoT(독거노인 건강안전알림서비스, 1700세대) 기기를 활용해 어르신들의 거동, 응급상황 등을 수시 모니터링하며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해왔다.
또 마을 이통반장, 부녀회장 등 지역사회 구성원 1930명으로 구성된 ‘고독사 지킴이단’을 전국 최초로 운영, 독거노인 등 2447명과 결연해 방문·전화로 안부를 확인하는 등 정서적 고립감과 외로움을 해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는 생필품 및 식료품 세트, 겨울 내의 등 후원 물품을 지원하고, 코로나19로 피로감이 높아진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1억원 상당의 전복도 제공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전남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코로나19로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노인여가복지시설이 휴관 조치됨에 따라 마을공동체 활동이 축소되면서 취약 어르신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전남도는 기존에 설치된 장비 1만3518대 중 노후화된 장비 8180대를 교체하고 신규 대상자를 위한 9874대를 추가 보급해 연말까지 홀로사는 어르신 등 2만3000세대를 대상으로 돌봄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홀로사는 노인 등에게 ICT(응급안전안심서비스, 1만3000세대) 및 IoT(독거노인 건강안전알림서비스, 1700세대) 기기를 활용해 어르신들의 거동, 응급상황 등을 수시 모니터링하며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해왔다.
또 마을 이통반장, 부녀회장 등 지역사회 구성원 1930명으로 구성된 ‘고독사 지킴이단’을 전국 최초로 운영, 독거노인 등 2447명과 결연해 방문·전화로 안부를 확인하는 등 정서적 고립감과 외로움을 해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는 생필품 및 식료품 세트, 겨울 내의 등 후원 물품을 지원하고, 코로나19로 피로감이 높아진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1억원 상당의 전복도 제공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