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이전’ 감정싸움으로 치달아선 안 된다
광주공항 이전을 놓고 광주시와 전남도가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치열한 신경전 속에 소모적인 논쟁이 이어지면서 자칫 감정싸움 양상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광주공항 이전 문제는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을 ‘원샷’으로 하느냐 아니면 분리해서 이전하는 ‘투트랙’으로 하느냐에 대한 양 시도의 시각차에서 빚어지고 있다. 광주시는 광주에 있는 민간공항 무안 이전과 함께 군공항도 전남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전남도는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은 별개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공항으로의 이전·통합은 2007년 국토부 방침으로 결정됐다. 이후 2018년 8월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민선7기 출범 이후 상생협약을 통해 민간공항을 2021년까지 무안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실마리가 풀리는 듯했다. 동시에 군공항 이전에도 협력하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생 협약의 해석을 놓고 원샷이냐 투트랙이냐 맞서면서 전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 시민권익위원회가 광주 시민 2500명을 대상으로 다음달 10일까지 민간공항 이전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광주시에 권고하기로 했다고 한다. 시민권익위는 여론조사에 앞서 TV토론회와 공청회를 개최해 민간공항 이전에 대한 광주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시에 전달할 예정이다. 하지만 투트랙 이전에 대한 광주 시민들의 반대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광주시가 시민권익위의 권고를 명분으로 민간공항 이전을 철회하기 위한 출구 전략을 준비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고 있다.
광주공항 문제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 협력해 해결해야 할 대표적인 지역 현안이다. 광주시는 시민권익위의 여론조사가 협약 파기 수순이라는 의혹을 받지 않도록 하고 전남도도 열린 마음으로 군공항의 전남 이전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 결국 시도지사가 만나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상생 방안을 찾는 것이 순리다.
광주공항 이전 문제는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을 ‘원샷’으로 하느냐 아니면 분리해서 이전하는 ‘투트랙’으로 하느냐에 대한 양 시도의 시각차에서 빚어지고 있다. 광주시는 광주에 있는 민간공항 무안 이전과 함께 군공항도 전남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전남도는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은 별개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공항 문제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 협력해 해결해야 할 대표적인 지역 현안이다. 광주시는 시민권익위의 여론조사가 협약 파기 수순이라는 의혹을 받지 않도록 하고 전남도도 열린 마음으로 군공항의 전남 이전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 결국 시도지사가 만나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상생 방안을 찾는 것이 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