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전당 운영 일원화 충분한 의견 수렴을
개관 이후 5년째 비효율적 운영이라는 지적을 받아 온 국립 아시아문화전당(ACC)의 정상화를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역 문화단체와 시민사회의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현재 ACC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이 운영하고 있으며 그 일부를 ‘아시아문화원’에 위탁하고 있다. 문화전당이 전반적인 운영과 정책 수립 및 대외 협력 등을 책임지고, 문화원이 교육·연구와 콘텐츠 창·제작 등을 맡는 구조다. 이처럼 조직 운영의 이원화로 인해 업무 중복 등 비효율이 크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이병훈(광주 동남을) 국회의원은 지난달 문화전당과 문화원의 조직 일원화 및 수익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 설립과 법안 5년 연장을 골자로 하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 지역 문화단체들은 ‘조성사업 유효기간 5년 연장’에 대해 찬성하고 운영 체제 일원화 및 문화전당의 정부 상설 기관화에도 공감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온도차가 크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정상화 시민연대’는 최근 입장문을 통해 “문화전당의 정부 상설 기관화는 지난 5년간 지역사회가 제기해 온 전문 인력 충원과 적정 예산 지원, 전당 운영 과정의 시민·전문가 참여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CC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지속적인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하지만 조직 일원화와 정부 상설 기관화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아시아를 이끄는 문화 콘텐츠 창·제작소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성 강화 등이 절실하다. 지역 정치권은 그동안 지역사회가 지적해 온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 수렴을 통해 특별법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현재 ACC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이 운영하고 있으며 그 일부를 ‘아시아문화원’에 위탁하고 있다. 문화전당이 전반적인 운영과 정책 수립 및 대외 협력 등을 책임지고, 문화원이 교육·연구와 콘텐츠 창·제작 등을 맡는 구조다. 이처럼 조직 운영의 이원화로 인해 업무 중복 등 비효율이 크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ACC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지속적인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하지만 조직 일원화와 정부 상설 기관화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아시아를 이끄는 문화 콘텐츠 창·제작소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성 강화 등이 절실하다. 지역 정치권은 그동안 지역사회가 지적해 온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 수렴을 통해 특별법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