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전략 산업 ‘미래 먹거리’ 될 수 있도록
‘미래 먹거리’인 지역의 혁신전략산업을 이제부터는 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정부는 예산만 지원하고 자치단체가 각자 지역의 혁신전략산업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그제 본회의를 열고 ‘2021년도 지역혁신성장계획안’을 의결했다. 이 안에 따르면 정부는 그동안 4개 부처별로 추진해 온 지역혁신 관련 사업을 내년부터는 광역 자치단체가 직접 추진하도록 개편했다.
지역 혁신전략산업 육성 프로젝트는 총 9100억 원 규모로 정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 지원하는 국비 4321억 원에 광주시와 전남도 등 해당 광역 자치단체가 지방비 4791억 원을 더해 추진하게 된다. 광주는 자율주행차 편의전장과 스마트 가전, 광융합 등에 국비 284억 원을 포함해 477억 원이 투입되고 전남은 E모빌리티와 바이오 헬스케어, 에너지 신산업 등 분야에 국비 453억 원을 더해 970억 원이 투자된다.
광주의 자율주행차 편의전장과 전남의 E모빌리티 등은 산업 기반이 취약한 우리 지역의 성장동력이 될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정부가 예산은 지원하되 운영은 자치단체에 맡기기로 한 만큼 이제부터는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리게 됐다. 따라서 광주시와 전남도의 전략산업 육성 의지와 로드맵 마련, 전광석화 같은 실행이 중요하게 됐다.
전략산업 육성은 단순히 투자만 한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다. 기획과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인적 요소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금부터라도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맞춤형 인력 양성에 나서고 창조적 인재를 찾아내는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전략산업의 밑그림을 직접 그리고 운영하는 기회가 주어진 만큼 이를 통해 풍요로운 광주·전남을 기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략산업 육성은 단순히 투자만 한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다. 기획과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인적 요소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금부터라도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맞춤형 인력 양성에 나서고 창조적 인재를 찾아내는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전략산업의 밑그림을 직접 그리고 운영하는 기회가 주어진 만큼 이를 통해 풍요로운 광주·전남을 기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