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정상화’ 당신들이 할 일이다
4·15 총선에서 당선된 광주 지역 국회의원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광주형 일자리’ 정상화가 꼽히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현 정부의 국정 과제임에도 노동계의 불참 선언으로 좌초 위기에 몰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광주 지역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자 여덟 명이 첫 공식 일정으로 그제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와 간담회를 연 것은 잘한 일이었다. 하지만 노동계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여 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이 자리에서 민주당 광주시당 위원장인 송갑석 의원은 “노사 화합의 전제는 노동 존중이고, 노동이 존중받기 위해선 경영진의 마인드나 시스템 등이 있어야 한다”며 “문제점과 대안을 허심탄회하게 말해 주면 최선을 다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은 “광주시와 현대차가 협약을 먼저 파기했다”면서 “2년 뒤 공장 완공 후 매몰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시민에게 지탄받느니 차라리 지금 멈추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더욱이 사업주인 (주)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마저 오는 29일까지 노사상생발전 협정서 이행과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사업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혀 노사 간 ‘치킨 게임’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의 힘만으로는 해결책을 찾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민주당의 적극적인 역할이 절실히 요구된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 과정에서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의 차질 없는 추진을 공약으로 제시했고 유권자들은 그 약속을 믿고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파국을 막기 위해서는 노동계가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게 급선무다. 노동이사제 등 노사 간 이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대안을 이끌어 내는 등 당선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대한다.
따라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광주 지역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자 여덟 명이 첫 공식 일정으로 그제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와 간담회를 연 것은 잘한 일이었다. 하지만 노동계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여 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이 자리에서 민주당 광주시당 위원장인 송갑석 의원은 “노사 화합의 전제는 노동 존중이고, 노동이 존중받기 위해선 경영진의 마인드나 시스템 등이 있어야 한다”며 “문제점과 대안을 허심탄회하게 말해 주면 최선을 다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