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표 ‘광주형 일자리’ 헤쳐나갈 수 있겠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한 원인으로 합작법인인 (주)광주글로벌모터스 경영진의 리더십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비전문가인 주요 임원들이 노동계와 상생 노력은커녕 고액 연봉 책정 등 염불보다는 잿밥에만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엊그제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하면서 “배임·횡령으로 유죄까지 받았던 박광태 전 광주시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등 보은인사 의혹이 짙다”는 것을 또다시 거론했다. 비전문가들이 주요 임원에 선임되면서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졌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한국노총은 청와대에 박 대표 등 주요 임원을 전문가로 교체해야 한다는 건의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이 같은 노동계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6일 열린 첫 정기 주주총회에서는 대표와 부대표 등 상임 이사의 통합 연봉을 최대 3억 8000만 원으로 한정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노동계가 요구한 ‘임원 임금 노동자의 두 배 이내 책정’은 물론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4대 원칙 중 하나인 ‘적정 임금’과도 배치되는 것이다. 당장 노동계는 “노동자 연봉 평균 초임은 3000만 원 수준으로 정해 놓고, 대표 등 임원은 수억 원대 임금을 가져가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반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부터 박 대표 선임을 반대해 왔던 시민사회의 비난 여론도 확산하고 있다. 최근엔 광주시청 내부에서조차 간부들을 중심으로 박 대표 사퇴를 촉구하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박 대표 등이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노사 상생을 위한 노력조차 외면하는 상황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제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 지금은 노동계가 다시 대화의 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명분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한 만큼 박 대표 등 경영진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엊그제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하면서 “배임·횡령으로 유죄까지 받았던 박광태 전 광주시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등 보은인사 의혹이 짙다”는 것을 또다시 거론했다. 비전문가들이 주요 임원에 선임되면서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졌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한국노총은 청와대에 박 대표 등 주요 임원을 전문가로 교체해야 한다는 건의서를 전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