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제조업체 52% “2분기 체감경기 더 악화”
  전체메뉴
광양 제조업체 52% “2분기 체감경기 더 악화”
광양상의, 100개사 BSI 조사…내수 침체·수출 위축에 코로나 악재 겹쳐
매출·영업이익 전분기보다 하락…경기전망지수도 2분기 연속 부정적
2020년 03월 30일(월) 18:40
광양지역 제조기업들은 2분기에도 체감경기가 여전히 나쁠 것으로 내다봤다.

30일 광양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광양지역 1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경기전망지수 63.5로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 분기(61.2)보다는 2.3포인트 상승했으나 2분기 연속 6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BSI는 기업의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100을 넘으면 전 분기보다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음을, 100 미만이면 반대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음을 의미한다.

체감경기가 전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15.4%, 전 분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32.7%였다. 반면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은 51.9%에 달했다.

광양지역 기업들은 매출액, 영업이익, 설비투자, 자금조달 지수도 전 분기보다 모두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광양상의 관계자는 “내수 침체와 수출 위축 등 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데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심리마저 악화해 지역기업들이 경기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경영활동에 대해서는 ‘피해를 입었다’는 응답이 36.5%였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63.5%로 다른 지역에 비해 코로나19 여파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역물품 부족(46.7%, 복수응답), 내수위축에 따른 매출 감소(23.3%), 수출 감소(16.7%), 물류·통관 문제(6.7%), 중국산 부품·자재 조달 어려움(3.3%)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나마 1분기 매출 감소분이 5% 미만 76.5%, 10% 미만 23.5%를 차지해 다행스러운 결과다.

광양지역 기업 4곳 중 3곳은 코로나19 피해가 1998년 외환 위기 때와 비교해 ‘비슷’(48.1%)하거나 ‘더 크다’(25.0%)고 응답했다. 2008년 금융 위기와 비교하면 80.8%가 ‘더 크다’(30.8%)거나 ‘유사하다’(50.0%)고 답했다. 메르스·사스 등 이전 감염병과 비교하면 52.0%가 ‘더 크다’, 36.5%는 ‘유사하다’고 응답해 심리적 영향이 훨씬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가 중장기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으로는 ‘사회적 불신 만연’, ‘구조개혁 등 중장기 파장’(각각 31.7%)을 꼽았다. 중국 포비아(15.9%), 밸류체인 다변화(14.6%), 경제 침체·출입국 제약 등(6.1%)을 우려했다.

코로나19 피해 최소화와 경제활력 회복을 위해서는 ‘금융·세제 지원’(41.5%)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꼽았고, ‘조업재개를 위한 외교적 노력’(21.3%), ‘내수·관광 회복을 위한 인센티브’(14.9%), ‘공정위·세무조사 등 조사 유예’(13.8%), ‘서비스·신산업 관련 규제 개혁’(8.5%) 등이 뒤를 이었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