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저소득층 지원 ‘방역 양극화’ 해소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위생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개인 방역용품 가격이 크게 올라 저소득층 주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성인용 마스크의 경우 2000원~3000원대로 지난해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랐다. 이에 따라 일정한 수입이 없는 빈곤층은 마스크 한두 개 구입하는 일조차 버거운 형편이다. 노동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노년 빈곤층의 경우 지금과 같은 상황이 한층 더 힘겹다.
방역용품 구매 부담이 커지자 지방자치단체나 각종 복지재단은 취약 계층을 위해 지원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취약 계층에 대한 마스크와 손 소독제 배부 등을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하도록 조치했음에도, 정작 광주·전남 현장에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광주시의 경우 최근 4920만 원의 재난관리기금 등으로 지난 30일부터 마스크(9000개)와 손 세정제(770개), 손 소독제 (200개), 체온계(400개) 등을 구입, 자치구 보건소와 선별 진료소 등에 보냈다. 전남도도 1억 9800만 원의 재난관리기금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 대응 사업’으로 22개 시·군에 보냈지만 취약 계층인 저소득층과 노약자 등에 대한 지원은 없었다.
정부가 올해부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생활시설 거주자 등 저소득층과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 무료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엇박자’ 행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없이 사는 것’도 서러운데 방역마저 양극화로 이중 소외를 당해서야 되겠는가. 당국은 방역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루속히 지원 체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