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생적 음주 측정 ‘우한 폐렴’ 안중에 없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이 평상시와 똑같이 음주측정기 소독도 없이 음주 운전 단속에 나서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엊그제 문재인 대통령까지 직접 현장을 돌며 우한 폐렴 차단에 주력하고 있는 비상 상황에서도 비위생적인 음주 측정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광주경찰청과 전남경찰청은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도심 곳곳에서 음주 운전 단속에 나서 광주 68건, 전남 52건 등 총 120건의 음주 운전자를 적발했다. 문제는 이번 단속 과정에서 ‘우한 폐렴’에 대한 예방 시스템이 전혀 가동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우한 폐렴’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데도, ‘경찰청의 지침이 없다’는 이유로 평상시와 똑같은 방식으로 음주 단속을 실시한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불쾌감과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광주시 서구에 살고 있는 회사원 A(38) 씨는 설날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27일 밤 저녁식사를 하고 귀가하던 중 경찰의 음주 단속 과정에서 타인의 침 등이 묻은 음주측정기에 입술이 닿아 불쾌했다며 불안감을 털어놓았다.
따라서 현행 음주 운전 단속 방식은 개선돼야 한다. 단속이야 당연하지만 지금처럼 우한 폐렴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측정기를 소독하거나 앞 사람의 타액을 닦아내는 조치를 취하는 등 혹시 모를 가능성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 특히 음주측정기로 인한 감염 우려를 막기 위해선 메르스 당시처럼 음주 운전 징후가 있는 운전자에 대해 선별적으로 음주 측정을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는 전염병 확산이 우려되는 시기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음주측정기 소독 등 위생적인 음주 단속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불쾌감과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광주시 서구에 살고 있는 회사원 A(38) 씨는 설날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27일 밤 저녁식사를 하고 귀가하던 중 경찰의 음주 단속 과정에서 타인의 침 등이 묻은 음주측정기에 입술이 닿아 불쾌했다며 불안감을 털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