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맞춤형 일자리 예산 매년 최고수준
  전체메뉴
지역 맞춤형 일자리 예산 매년 최고수준
광주·전남 66개 사업 162억원…전체 예산 15.7% 차지
전남 기초산업 7억·광주 중기 제조혁신 2억5천 지역 내 최고
2019년 12월 10일(화) 04:50
광주·전남 지자체가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예산을 가장 많이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광주 27개·전남 39개 등 66개가 선정돼 각각 58억1000만원, 103억8000만원 상당의 국비를 지원했다. 사업 7개 중 1개 꼴로 광주·전남이 선정된 것으로 두 지역의 예산 지원액 비율은 광주 5.6%, 전남 10.1%를 차지했다.

‘지역산업맞춤형 사업’은 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사업을 제안하면 심사를 통해 선정·지원하는 사업이다.

광주·전남 예산 지원액은 매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지원액을 살펴보면 ▲2015년 145억6000만원 ▲2016년 229억3000만원 ▲2017년 240억3000만원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지난해부터 전체 예산이 줄면서 ▲2018년 220억5000만원 ▲올해 161억9000만원의 국비를 타냈다. 전체 예산에 대한 비중은 2015년 16.7%→2016년 23.6%→2017년 19.5%→2018년 18.6%→2019년 15.7%로 집계됐다.

전남은 예산 확보를 두고 매년 경남과 1·2위를 다투고 있다.

전남 지원액은 2015년 83억9000만원에서 이듬해 157억2000억으로 껑충 뛰며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예산을 확보했다. 전남의 예산 지원액은 2017년 1위(163억4000만원)→2018년 2위(151억6000만원)→2019년 2위(103억8000만원)로 나타났다.

올해 예산 규모로 보면 전남에서는 ‘전남형 주력산업 고용안정 프로젝트 기초산업분야 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이 7억1000만원을 확보하며 가장 많이 차지했고, 광주는 ‘중소기업 제조혁신 확산 프로젝트’가 2억5000만원을 받으며 지역 내 1위를 차지했다.

표고버섯이 특산품인 장흥군은 ‘버섯산업 맞춤형 현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예산 9800만원을 따왔고 영암군은 ‘대불국가산업단지 고용활성화 및 환경개선 지원사업’으로 2억6000만원을 받았다.

기술인력을 양성하려는 사업도 잇따라 추진됐다.

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여수시는 ‘스마트 플랜트 공정제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예산 1억원을 확보했고 광주시 북구 ‘NCS 기반 드론 활용 전문인력 양성’(1억), ‘3D프린팅을 활용한 자동차부품 설계 및 시제품 제작’(9500만), 서구 ‘공간정보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1억), 남구 ‘신중년 인생2모작을 위한 자동차 검사 인력양성’(1억), 광산구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설계·DB관리 전문인력 양성’(7000만) 등도 공모에 선정됐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공모 기간 동안 광주·전남 지자체가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라며 “사업이 보다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사업 컨설팅과 지도점검·평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