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산화탄소 비상
안면도 지난해 415.2PPM…전 세계 평균보다 높아
지난해 온실가스 평균 농도가 전년보다 증가하며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온실가스 연보를 통해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2018년 전 지구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07.8ppm으로 전년(405.5ppm) 대비 2.3ppm 증가했다.
작년 증가량은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증가량(2.26ppm/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연평균 농도는 산업화 이전(1750년 이전) 대비 약 47% 증가한 수치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2015년 처음으로 400ppm을 넘어선 뒤 계속 높아지고 있다.
올해 연보에 인용된 미국해양대기청(NOAA) 수치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 화학물질이 대기 온도를 높이는 정도)이 1990년 이후 43% 증가했고,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는 80%를 차지했다.
WMO는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 기원을 추적한 결과 탄소 동위원소(14C)가 포함되지 않은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있어 화석연료나 자동차 등 인간 활동으로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포함된 탄소 동위원소(14C)는 화석연료의 연소와 천연 공급원 배출을 구분하는 유일한 기준이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파리협약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농도는 감소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각국에 협약 실천을 촉구했다.
한편 우리나라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관측 결과, 2018년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15.2ppm으로 전년(412.2ppm) 대비 3.0ppm 증가했고 전 지구 평균보다 높게 관측됐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전 지구와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후손들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한시바삐 감축을 위한 노력에 정부와 국민이 함께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기상청에 따르면 2018년 전 지구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07.8ppm으로 전년(405.5ppm) 대비 2.3ppm 증가했다.
작년 증가량은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증가량(2.26ppm/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연평균 농도는 산업화 이전(1750년 이전) 대비 약 47% 증가한 수치다.
올해 연보에 인용된 미국해양대기청(NOAA) 수치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복사강제력(radiative forcing: 화학물질이 대기 온도를 높이는 정도)이 1990년 이후 43% 증가했고,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는 80%를 차지했다.
WMO는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 기원을 추적한 결과 탄소 동위원소(14C)가 포함되지 않은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있어 화석연료나 자동차 등 인간 활동으로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파리협약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농도는 감소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라며 각국에 협약 실천을 촉구했다.
한편 우리나라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관측 결과, 2018년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15.2ppm으로 전년(412.2ppm) 대비 3.0ppm 증가했고 전 지구 평균보다 높게 관측됐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전 지구와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후손들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한시바삐 감축을 위한 노력에 정부와 국민이 함께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