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혁신도시 일대 ‘에너지밸리 강소특구’ 지정 논의 본격화
  전체메뉴
나주 혁신도시 일대 ‘에너지밸리 강소특구’ 지정 논의 본격화
과기부, 심사 착수
2019년 11월 21일(목) 04:50
광주전남빛가람혁신도시 일대를 ‘에너지밸리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과학기술부는 최근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를 발족, 강소특구 지정 심사를 진행하기 위한 활동에 돌입했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존 특구와 같은 대규모가 아닌, 비교적 좁은 면적에 집약적으로 연구개발 핵심기관과 기업을 모아 관련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5월 도입된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이다. 전남도를 비롯, 울산·충남·전북·경북·서울·경남 등 전국 7곳이 특구 지정을 요청한 상태다.

전남도는 한전을 강소특구의 기술핵심기관으로 삼아 혁신 일반산단(기술생태계 순환지구·0.97㎢),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기술사업화 핵심지구·0.41㎢), 한전공대 연구소 및 클러스터 (기술이전 확산지구·0.80㎢) 일대를 배후공간으로 하는 2.32㎢의 특구 조성 계획을 과학기술부에 제출했었다.

전남도는 강소특구 내 연구개발기관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 이전(150건), 기술 창업(100건), 연구소기업(50건), 첨단기술기업(10건) 등의 기술 사업화를 이끌어내겠다는 목표를 세워놓았다. 이를 통해 500억원의 기술 사업화 매출을 올리고 5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전남도 구상이다.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는 15명의 워원들로 정책·조성분과를 꾸려 5~6개월 간 지정요건 심사, 사업화 역량 및 특화분야 적정성, 배후공간 타당성 등을 중점 검토하게 된다. 또 지역별 전담위원을 통해 대면 검토를 강화하고 사업화모델, 육성방향 및 공간활용까지 면밀하게 심사할 계획이라는 게 과기부 입장이다.

전남도는 특화분야 적정성의 경우 기술핵심기관·지역의 R&D 역량 및 특화분야 성장 가능성 등을 평가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예정으로, 한전측이 디지털변환·에너지전환·기후변화 대응·전력망 고도화 등 특화분야별로 핵심기술을 갖추고 있는 만큼 긍정적 평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