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인근 농어촌에 체류형 복합농원 조성
  전체메뉴
혁신도시 인근 농어촌에 체류형 복합농원 조성
농어촌 상생협력 추진 세미나
총 사업비 6000억원 책정
1~3개 지역에 시범 시행 계획
후보지로 나주·장성 등 거론
2019년 11월 20일(수) 04:50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앞줄 왼쪽)는 지난 14일 본사에서 열린 ‘균형발전 전략과 연계한 농어촌 상생협력 추진방안’ 합동세미나에서 ‘혁신도시-농어촌 상생협력 사업모델’을 제안했다. <농어촌공사 제공>
장성·나주 등 빛가람혁신도시 주변 농어촌 지역에 상생협력을 위한 혁신농원이 조성된다. 해당 지역에 조성되는 ‘농어촌 체류형 복합농원’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전기관 가족 동반 이주율을 높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농어촌공사는 지난 14일 나주 본사에서 개최한 ‘균형발전 전략과 연계한 농어촌 상생협력 추진방안’ 합동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공사는 올해로 나주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5년을 맞았지만 이전기관 직원 40%는 여전히 가족과 떨어진 ‘기러기 가족’이라는 점에서 혁신도시 정주여건과 문화·복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왔다. 또 인력난과 고령화를 겪고 있는 농촌에 귀농·귀촌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점에 착안해 혁신도시와 배후지역이 상생할 방법을 고안해냈다.

농어촌공사 내·외부 전문가 209명으로 구성된 ‘KRC 지역개발센터’는 지속적인 도시민 유치를 위해 사계절 체험이 가능한 ‘혁신도시-배후지역 상생협력사업’ 구상안을 내놓았다.

사업 후보지는 혁신도시에서 반경 6~40㎞ 인접한 나주시, 장성군, 무안군, 영광군, 함평군 등지다. 이들 후보지는 지역특화축제, 수변공원, 로컬푸드 직매장 등 연간 10만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농어촌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사업 기본 방향은 가족친화형 ‘여가농원’의 형태로 ▲휴양·레저·농촌체험 집약형 ‘원스톱 서비스’ ▲농어촌 일자리 및 수익 창출 ▲농촌 자원 우수 지역 선정 등으로 잡았다.

농어촌공사는 이날 혁신도시 배후지역 가운데 공사 부지가 확보된 장성을 예로 들어 상생협력사업 구상안을 소개했다. 장성호 인근 33㏊ 부지를 ‘농촌체험농원’(6㏊) ‘체류형 농원’(2㏊) ‘임대형 농원’(19.9㏊) ‘농촌창업센터’(0.3㏊) 등으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농원 곳곳에는 농촌문화 체험장, 로컬푸드 직매장, 가족단위 숙박시설, 청년창업센터, 농기구 대여센터 등 시설이 구비된다. 이 가운데 ‘임대형 농원’은 10평(33㎡) 규모 필지 1000개를 1년 단위로 유상 분양하며 혁신도시 이전기관 가족의 영농체험을 지원할 계획이다.

해외 선진사례로는 독일 ‘클라인가르텐’과 일본 ‘시민농원’을 꼽고 국내 사례로는 전북 고창 상하지구를 들었다. ‘도시 속의 작은 공원’이라는 뜻을 지닌 클라인가르텐은 1864년 시작된 뒤 지자체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도시계획 단계부터 근교 1시간 이내 1구획당 250~300㎡ 규모 ‘클라인가르텐’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1920년 시작한 일본 시민농원도 도시형·도시근교형·농촌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고 있다. 법률정비를 통해 농지보전과 주택소유 관련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농어촌공사는 ‘혁신도시-배후지역 상생협력사업’을 5년에 걸쳐 전국 30개 지역에 시행할 예정이며, 사업비는 총 6000억원 가량이 들 것으로 내다봤다. 공사는 전국 혁신도시의 규모·사업여건을 감안해 1~3개 지역에 시범 시행할 계획이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구체화한 사업안을 정부에 조만간 건의해 국비 마련에 힘쓸 것”이라며 “이전 공공기관이 해당 지역 지자체와 협력해 인근 농어촌 배후지역이 갖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활용하고 사회적 기능을 연계한다는 점에서 지역상생발전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식 공사 사장은 “농어촌이 갖고 있는 다원적 기능을 활용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개발을 통해, 삶터, 일터, 쉼터가 어우러져 공동체와 포용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