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갑 권리당원 모집 불·탈법 전수조사 속도 낸다
민주 광주시당 9000여명 대상
본인확인 서류 접수 마무리
서류 검토뒤 당원자격 부여 결정
선거판 흔들 변수될 수도
본인확인 서류 접수 마무리
서류 검토뒤 당원자격 부여 결정
선거판 흔들 변수될 수도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이 광주 광산갑에서 불거진 불·탈법 권리당원 모집 전수조사 대상자의 ‘본인 확인 서류’ 접수를 공식 마감하는 등 관련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조사결과에 따라선 자격 박탈 당원이 속출하고, 특정 후보 진영 당원들이 자격을 무더기로 잃을 수 있어 이번 전수조사 결과가 내년 총선의 이 지역구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7월까지 신규 모집된 광산갑 1만여명의 권리당원 중 90%가량인 9000여명이 이번 전수조사 대상이기 때문이다.
또 최근 민주당 중앙당 총선기획단의 첫 회의에서 내년 총선 핵심 키워드로 ‘공정’을 꼽아 특정 진영을 돕기 위해 무더기로 접수된 광산갑 불·탈법 권리당원의 자격 박탈 규모도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게 지역 정가의 분석이다.
13일 민주당 광주시당은 “전수조사 대상인 9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본인 확인 접수 절차를 지난 12일 마무리하고, 사실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앞서 광주시당은 대리 접수된 광산갑 입당원서 전체를 우선 반려하고, 신분 확인이 가능한 서류를 첨부한 입당원서만 제21대 총선 권리당원 자격을 주기로 했다. 타인을 통해 접수된 입당원서는 모두 전수조사 대상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당은 지난 12일까지 신분확인 등의 서류 제출을 마무리했고, 이를 확인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현재 직원 4명을 충원해 전수조사 대상자들이 제출한 서류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광주시당 관계자는 “현재 접수된 서류 파악이 모두 마무리되지 않아 정확한 수를 분석할 수는 없지만 반려된 서류 중 상당수가 본인 확인을 위해 재접수됐다”면서 “전체 서류가 많아 정확한 분류·확인작업 일정은 미지수이며, 추후 최종 결과를 공개할지 여부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수조사 대상자들은 거주유형별 증빙자료인 주민등록증,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재학증명서 등을 제출했고 광주시당은 이들 서류를 검토한 뒤 당원자격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광주시당은 거주유형별 증빙자료가 광산갑 지역에 거주하지 않거나, 직장(학교)이 없는 타지역에 거주하는 불법 당원도 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이 광산갑 권리당원 전수조사에 나선 것은 당원 모집 과정에 각종 불·탈법이 난무했기 때문이다. 실제, 이 지역 한 정치인이 제출한 수 백여 장의 권리당원 입당원서의 필체가 동일해 광주시당이 경고를 했다. 한 주소지에 무더기 입당원서가 제출된 경우도 많았다. 심지어 영남과 충청에 주소를 둔 유권자도 광산갑 권리당원으로 입당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당은 서구 K아파트 한 동에 주소지를 둔 115명에 대해 당원자격을 불허했다. 한 아파트에서 당원이 한꺼번에 모집됐고, 일부 당원의 주소지 또한 겹쳐 불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13일 민주당 광주시당은 “전수조사 대상인 9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본인 확인 접수 절차를 지난 12일 마무리하고, 사실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광주시당은 지난 12일까지 신분확인 등의 서류 제출을 마무리했고, 이를 확인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현재 직원 4명을 충원해 전수조사 대상자들이 제출한 서류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광주시당 관계자는 “현재 접수된 서류 파악이 모두 마무리되지 않아 정확한 수를 분석할 수는 없지만 반려된 서류 중 상당수가 본인 확인을 위해 재접수됐다”면서 “전체 서류가 많아 정확한 분류·확인작업 일정은 미지수이며, 추후 최종 결과를 공개할지 여부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수조사 대상자들은 거주유형별 증빙자료인 주민등록증,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재학증명서 등을 제출했고 광주시당은 이들 서류를 검토한 뒤 당원자격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광주시당은 거주유형별 증빙자료가 광산갑 지역에 거주하지 않거나, 직장(학교)이 없는 타지역에 거주하는 불법 당원도 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이 광산갑 권리당원 전수조사에 나선 것은 당원 모집 과정에 각종 불·탈법이 난무했기 때문이다. 실제, 이 지역 한 정치인이 제출한 수 백여 장의 권리당원 입당원서의 필체가 동일해 광주시당이 경고를 했다. 한 주소지에 무더기 입당원서가 제출된 경우도 많았다. 심지어 영남과 충청에 주소를 둔 유권자도 광산갑 권리당원으로 입당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당은 서구 K아파트 한 동에 주소지를 둔 115명에 대해 당원자격을 불허했다. 한 아파트에서 당원이 한꺼번에 모집됐고, 일부 당원의 주소지 또한 겹쳐 불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