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율주행차의 메카
전남, 에너지신산업 허브
규제자유특구 최종 선정
규제자유특구 최종 선정
광주시와 전남도가 각각 무인저속 특장차,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에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미래산업의 핵심축인 인공지능(AI) 산업과 연계해 완전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의 이정표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는 에너지밸리와 한전공대 등과 연계해 에너지 신산업 시대, 미래 성장을 주도할 ‘글로벌 에너지 허브(hub)’로 도약하는 데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12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날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위원회) 심의를 거쳐 광주 광산구 진곡산단을 중심으로 북구 첨단산단 등 7개 구역 16.79㎢를 ‘무인 저속 특장차 규제자유특구’로 확정했다.
광주 규제자유특구는 북구와 광산구 내 7개 구역으로 무인 노면청소·생활폐기물 수거 차량 등 공공서비스용 무인 특장차 실증을 실시할 계획이며, 차량 운행을 통한 데이터를 분석·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특구 지정기간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이며, 총 466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광주시는 이번 지정에 따라 자율주행과 관련된 전후방 산업의 병행적 실증을 촉진해 지역의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위원회는 또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비롯한 나주 에너지밸리 일대 19.94㎢를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확정했다.
전남은 지난 7월 영광 대마산단을 중심으로 영광·목포·신안 일대(272만9000㎡·도로 37㎞)가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데 이어 혁신도시 일대도 ‘에너지 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포함되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2개 규제자유특구를 갖춘 지역이 됐다. 전남도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녹색에너지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해 한전을 비롯, 16개 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국비 등 390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대용량 분산전원 연계용 중압직류(MVDC)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와 연계한 직류산업 육성 전략 수립 ▲MVDC 핵심 제품 개발 및 ±35㎸급 전용 선로 등의 시범 구축이다.
전남도는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계통수용률 향상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일대는 이미 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해 일정 지역의 대규모 에너지 발전시설과 에너지 관련 기업·기관·연구소 등을 하나로 묶어 협력을 촉진하고 정부가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된 상태다.
전남도는 에너지융복합단지·규제자유특구에 이어 내년 초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전남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신기술 개발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국내 에너지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남의 핵심 프로젝트인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의 6개 핵심 프로젝트 중 최우선 리스트에 올라있는 ‘블루 에너지’ 플랜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블루 에너지’는 풍부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한전을 비롯한 전력 관련 기업들이 밀집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밸리를 활용, 에너지 신산업 시대를 주도할 ‘글로벌 에너지 수도’로 전남을 만들겠다는 플랜이다.
한편,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 제약없이 혁신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지역으로 올해 4월부터 시행됐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이에 따라 광주시는 미래산업의 핵심축인 인공지능(AI) 산업과 연계해 완전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의 이정표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는 에너지밸리와 한전공대 등과 연계해 에너지 신산업 시대, 미래 성장을 주도할 ‘글로벌 에너지 허브(hub)’로 도약하는 데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광주 규제자유특구는 북구와 광산구 내 7개 구역으로 무인 노면청소·생활폐기물 수거 차량 등 공공서비스용 무인 특장차 실증을 실시할 계획이며, 차량 운행을 통한 데이터를 분석·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위원회는 또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비롯한 나주 에너지밸리 일대 19.94㎢를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확정했다.
전남은 지난 7월 영광 대마산단을 중심으로 영광·목포·신안 일대(272만9000㎡·도로 37㎞)가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데 이어 혁신도시 일대도 ‘에너지 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포함되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2개 규제자유특구를 갖춘 지역이 됐다. 전남도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녹색에너지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해 한전을 비롯, 16개 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국비 등 390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대용량 분산전원 연계용 중압직류(MVDC)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와 연계한 직류산업 육성 전략 수립 ▲MVDC 핵심 제품 개발 및 ±35㎸급 전용 선로 등의 시범 구축이다.
전남도는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계통수용률 향상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일대는 이미 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해 일정 지역의 대규모 에너지 발전시설과 에너지 관련 기업·기관·연구소 등을 하나로 묶어 협력을 촉진하고 정부가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된 상태다.
전남도는 에너지융복합단지·규제자유특구에 이어 내년 초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전남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신기술 개발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국내 에너지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남의 핵심 프로젝트인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의 6개 핵심 프로젝트 중 최우선 리스트에 올라있는 ‘블루 에너지’ 플랜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블루 에너지’는 풍부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한전을 비롯한 전력 관련 기업들이 밀집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밸리를 활용, 에너지 신산업 시대를 주도할 ‘글로벌 에너지 수도’로 전남을 만들겠다는 플랜이다.
한편,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 제약없이 혁신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지역으로 올해 4월부터 시행됐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