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공항 이전 정부·지자체 합의기구 구성을
광주·전남 지역 최대 현안인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지자체가 참여하는 합의 기구 구성이 절실하다. 사업 주체인 국방부가 주민 반발을 의식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광주시가 직접 나서고 있지만 수년째 해법을 찾지 못한 채 갈등만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 행정 사무 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 군공항이전추진본부는 지난해 10월 이후 군 공항 이전 업무 협의 등을 위해 무안을 비롯한 전남과 서울 등지를 86차례 방문했다고 한다. 전남 방문에서는 공무원과 이전 후보지 시민단체 및 주민협의체와 만나 지역민의 요구와 의견을 청취했다.
하지만 광주시의 이런 움직임은 되레 전남 도민들의 반감을 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 정부의 공약 사업이자 국정 과제인 군 공항 이전에 국방부가 아닌 광주시가 직접 나서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이를 국가사업이 아닌 광주시의 현안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동안 거론되던 전남 지역 네 곳 가운데 무안과 해남이 국방부의 작전성 검토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이들 시군과 협의 절차를 거친다면 두 곳 모두 예비 이전 후보지로 지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시군들은 논의조차 꺼리는 분위기다.
한편으로 광주시 면담 결과 반대 일변도로만 알려졌던 일부 지역 주민들 가운데 찬성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확인됐다고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군 공항 이전 주체인 국방부가 주도하고 광주시와 전남도 및 후보 지자체 등이 참여해 허심탄회하게 협의하고 조정할 수 있는 합의 기구를 조속히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군 공항 이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전 지역의 미래 청사진과 소음 대책 등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제시하면서 광주와 전남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광주시의 이런 움직임은 되레 전남 도민들의 반감을 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 정부의 공약 사업이자 국정 과제인 군 공항 이전에 국방부가 아닌 광주시가 직접 나서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이를 국가사업이 아닌 광주시의 현안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광주시 면담 결과 반대 일변도로만 알려졌던 일부 지역 주민들 가운데 찬성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확인됐다고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군 공항 이전 주체인 국방부가 주도하고 광주시와 전남도 및 후보 지자체 등이 참여해 허심탄회하게 협의하고 조정할 수 있는 합의 기구를 조속히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군 공항 이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전 지역의 미래 청사진과 소음 대책 등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제시하면서 광주와 전남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